reference

자료실

reference

자료실

홈으로화살표 자료실화살표 교육학일반

교육학일반

게시물 상세
[교육사회학] 사회를 이해하는 미시적 관점
작성자 : edulab1( )   조회수 : 682

사회를 이해하는 미시적 관점

 

미시적 관점이란 사회·문화 현상을 작은 부분부터 이해하려는 입장으로 개인의 능동적 사고 과정과 행위, 타인과의 관계 등에 주목하고 사회 문제를 개인의 심리, 의식, 집단과의 관계에서 찾으려고 하는 관점을 말한다.

1970년대 이후 그동안 기대했던 빈부격차의 해소, 복지사회의 실현에 대한 기대와 달리 실망과 좌절이 컸다. 게다가 개발도상국가에서 나타난 의회민주주의와 산업화의 역기능 등으로 사회발전과 인류의 행복, 교육문제를 새로운 시각으로 보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사회문제를 파악하는 구조기능주의는 거시적·객관적 접근에만 의존하여 불평등의 범위는 기술할 수 있지만 그 원인에 대한 설명은 충실히 할 수 없었다. 따라서 1970년대 영국을 중심으로 신교육사회학의 본격적인 대두되었다.

 

이에 대한 특징과 미시적 관점과 관련된 이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의 기본 입장은 모든 관념은 특정한 제도적 맥락에서 창출되고 수여된 것으로

새로운 관점에서 재정의할 것을 요구한다. 둘째, ‘규범적 패러다임대신 해석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셋째,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에서 형성된 행위자의 의미부여, 동기, 가치 등에 준거하여 해석하고 이해하는 새로운 사회학적 관점과 방법을 중시한다. 넷째, 학교 내부에서 발견되는 교육적 지식의 구성과 전달, 교수법과 평가의 범주 및 학급에서의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적 과정의 관찰과 설명이 중심적 관심사이다.

 

1) 해석학(解釋學, hermeneutics)

 

해석이란 언어ㆍ문장으로 표현된 것, 더 넓게는 인간 정신의 산물인 학문, 예술, 풍속 등 결국 문화라고 칭해지는 것을 인간이 체험한 것의 표현이라 보고 내면적, 심리적으 로 그것들을 파악, 이해하는 것이다.

인간의 자유의지 중시, 참여자의 해석이나 주관적인 의미’(관찰 또는 연구 대상의 마음 속에 있는 생각을 보고 그들이 상황을 규정하는 방식을 본다는 의미)에 중점을 두고 그들 의 평범한 일상생활을 중시한다. 그러므로 교육을 바꾸고 싶으면 일상적인 활동을 바꾸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2)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

 

개인은 상징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하고 이를 통해 타인과 공유하는 경험세계를 형성함으로써 자아의 인성을 만들어간다. 이는 사람이 다른 사람들과 끊임없이 접촉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일상적인 심리상태와 개인의 주관적인 의도 등을 정교하게 포착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교도소의 다른 범죄자들과 상호작용(접촉)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정보가 오가며 자연스럽게 범죄를 다시 저지르게 되는 주관적인 동기를 갖게 된다.

사람 사이에 주고받는 상징(북한에서의 계란이라는 말, 바디랭귀지 등)’을 분석함으로써 사회문화적 현상을 알 수 있다. 개들은 상대의 몸짓(상징)을 보고 우호적일지 공격을 가할지 결정한다. 그들은 서로의 상징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사고)이 있다. 상징을 해석하는 틀을 미드는 사고(mind)’라고 하였다. 사고(타자의 반응을 해석조정하는 능력)는 상대의 몸짓을 매개로 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일어난다. 서로의 몸짓이 서로를 자극하고 반응하는 것을 사회적 행동이라고 한다. 인간은 언어라는 매개를 통해 상징과 의미를 주체적으로 창조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언어는 타자의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데 사용한 몸짓의 다른 형태일 뿐이다. 자아(‘’)도 태어나면서 갖게 되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의 상호작용하면서 발달하고 변화한다.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는 상대가 되어 간다. 즉 자아는 타인이 하고 있는 일을 자신도 지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적 과정을 통해 인간사회가 조직된다. 따라서 자기충족예언(self-fulfilling prophecy)-교사는 학생에게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하면 학생들은 그것을 자기충족예언으로 받아들여 현실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개인의 사회화는 의미 있는 타자들의 태도를 취함으로써 시작된다. 일반화된 타자는 내면화된 사회구조이다.

사람들은 상호 언어와 몸짓 등을 주고받으며 영향을 미친다. 사회현상은 개인 간의 상징 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예를 들면, 자살은 누군가의 상징이 영향을 미친 결과이다. 누군가에게 영향을 받은 개인적인 문제이다.

 

3) 민속방법론(ethnomethodology)

 

대표적인 해석학적 방법으로 현장에서는 참여관찰법에 의존한다. 인간행동을 이해한다고 할 때 그것은 단순한 대상이 아니라 의미의 구성체로서의 인간행동을 말한다. 사회적 상황에서의 인간행동은 고립된 사건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다른 것과 상호 관련하여 일어난다.

민속방법은 구성원들의 의미구조에 관심이 있고 이 의미구조와 사회상황의 참여자가 사회적 상황에 부여하는 해석과 의미에 주된 관심을 둔다. 민속방법은 통찰을 중시한다. 통찰은 관찰 대상인 사회현상의 내부에 있을 때 얻어진다. 통찰을 얻기 위해 참여관찰, 심층면접, 지도나 차트 만들기, 상호작용분석 하기, 역사적 기록이나 공문서, 인구학적 자료를 활용한다.

민속방법에 의한 연구는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 아니라 가설을 도출하는데 유용하다. 민속방법은 하나의 질적인 민속지(ethnography=특정 문화를 주의 깊은 기술한 내용으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를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

 

4) 현상학(現象學, phenomenology)

 

사람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세상의 대상과 현상을 본다. 인간마다 가진 자신의 의식 속 대상과 현상을 인정한다. 현상이란 경험에 나타난 상태를 의미한다. 현상을 중시하는 철학으로 자신(‘’)의 주관적 경험을 중시한다. 현시(顯示)된 모든 것은 현시되어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우리가 대상을 어떤 의도나 태도로 바라보는지에 따라 그 대상으로부터 이끌어낼 수 있는 인식은 달라진다. 결국 현상학이란 인간의 정신, 의식, 내면을 직접 탐구하는 방식을 택한다. 현상학은 해석학의 대상과 현상을 개인적으로(주관적으로) ‘해석한다.

교육현상학 연구의 전형은 교육의 모든 과정에 대해 생생하게 느끼는 참여자의 체험세계 또는 교육적 대상에게 의미를 부여하는 참여자의 의식세계를 기술함으로써 교육의 본질을 들여다보는데 의도가 있다.

 

이전글 〔교육사회학〕 질적 연구방법에 관하여
다음글 〔교육사회학〕 집단사고(groupthink)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