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자료실

reference

자료실

홈으로화살표 자료실화살표 교육학일반

교육학일반

게시물 상세
[교육사회학] 질적 연구방법-현상학(phenomenology)
작성자 : edulab1( )   조회수 : 1246

질적 연구방법-현상학(phenomenology)

 

1. 의미

 

-현상(phenomenon)은 그리스어 phaino에서 온 단어로 그 의미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이다’, ‘불을 밝히다등이다. 여기서 있는 그대로는 무편견과 무전제의 원리를 바탕으로 인간의 의식에 떠오르는의 의미다(B143).

-현상이란 이미 인간의 의식에서 지워진 존재이긴 하지만 환원(reduction)은 가능하다. 이전에 존재하는 인간의 의식과 의식하고자 하는 대상물과의 자연스러운 태도로 나아가는 것이다. 현상학적 환원은 연구자의 태도의 변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B145).

-환원의 태도를 가지기 위해서는 본질직관이 필요하다. 본질직관이란 판단중지를 통해 감성이나 이성에 의한 추리가 아니라 직관을 통해서 본질을 파악하려는 일체의 특수한 노력이다(B145).본질직관의 세 단계 상상적 변형 현상의 본질 찾기 수집한 자료 속의 공통점

-현상학이라는 철학적 전통(Edmund Husserl:1858~1938, Martin Heidegger:1889~1976)을 기반으로 하는 질적 연구방법이다.

-현상학적 연구는 연구대상이 되는 현상에 대한 연구 참여자(현지인)의 경험을 연구자의 선입견에서 최대한 벗어나서 탐구하는 질적 연구방법이다(B).

-현상학은 사회 구조적 현상보다는 인간의 의식현상에 대한 의미에 관심을 갖는다.

-객체가 아니라 주체에 초점을 맞춘다.

-현상학의 철학적 원리를 구체적인 연구 방법으로 변환한 것이다.

-현상학은 어떤 상황에 처한 인간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밝히는 철학이다. 현상학적 연구는 질적 연구수행에 활용한 일종의 응용현상학이다(B).

-존재란 의미를 부여하는 활동에 의해 의미가 지워진 객관적 의미체이다. 존재란 인간이 그 대상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존재가 살아난다.김춘추 시인의 처럼. 결국 사람이 이해하는 대상이란 대상 그 자체가 아니라 의식이 만들어 놓은 의미체인 것이다(B141).

-현상학에서는 사람, 의식, 의미체, 대상과의 관계를 의식의 지향성(intentionality=‘무엇에 관한 의식’)’라는 개념으로 표현한다. 그 이유는 의미체로 존재하는 대상의 본질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려고 하기 때문이다(B142).의식은 항상 어떠한 대상에 대한 의식이다. 대상(noema=사유된 것)은 의식의 자발적 구성작용(noesis=사유) 없이는 그 존재조차 보장받지 못하는 처지로 전락한다[출처]. 사르트르의 후설 비판 - 의식의 지향성과 대상의 즉자성|작성자 원승재.

-인간 밖에 존재하는 지각된 대상()은 인간과 상관없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의 관계를 통해서 의미 있는 대상으로 구성되는 존재이다. 어떠한 대상이든 간에 이는 인간의 주관에 의해 해석되고 의미가 부여된 대상이다(B142). 나의 고양이 흰둥이는 단순히 내가 만나고 키웠던 길고양이로 기억되기보다는 추억 또는 사랑이라는 의미체로서 영원히 마음에 남아있다. 흰둥이는 없어졌지만 나와 그 사이엔 사랑이라는 의미체로 영원히 남았다. 흰둥이는 내 의식이 만들어낸 추억과 사랑이라는 의미체이다.

-후설은 무엇에 관한 의식으로서의 지향성을 사유라는 의미를 지닌 희랍어의 명사를 이용해서 노에시스(noesis)’라고 불렀으며, 의식이 향하고 있는 대상을 노에마(no-ema)’라고 불렀다. 대상을 지향하는 작용으로서의 의식(noesis)을 통해 인간의 체험은 의미가 부여된 대상(no-ema)이 된다(B142).

-의식이란 이성에 의해 대상을 판단하기 이전에 인간에게 본능적으로 존재하는 대상을 향한 감정과 직관과 같은 의식의 흐름을 의미한다(B142).

-현상학은 현상에 대한 연구다.

-현상이란 참여자의 경험이다. 현상=참여자의 경험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가장 큰 특징은 참여자의 경험을 현상으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현상으로서 경험이란 순수의식 속에 드러나는 체험을 직관하여 기술한다.

-현상에 주목한다는 것은 인식하는 주체(참여자와 연구자)의 의식 속에 가장 직접적으로 주어지는 직관적인 체험(이성적·논리적 설명이 될 수 없는 주관적인 경험)으로 돌아간다는 뜻이다.

-연구자가 참여자의 이야기를 듣고 생각하는’, 인식하는 주체라면 참여자는 자신의 경험을 제보하기 위하여 연구 시점에서 경험을 떠올리는’, 인식의 주체가 된다.

-참여자는 의식의 지향에 따라 떠오르는 바를 직관적으로 응시하고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하고

연구자는 편견과 선 이해(현상학적 판단중지와 현상학적 환원, 괄호치기)를 보류하고 참여자가 드러내는 그대로의 자기 체험을 직관적으로 풀어낼 수 있어야 한다.

-현상학적 연구에서는 이성의 작동에 의한 해석과 판단이 이루어지기 전에 의식 속에 먼저 존재하게 되는 대상의 의미에 대한 탐구를 목적으로 두기 때문에 연구자는 논리적, 분석적 설명과 판단의 개입을 억제해야 한다.

-현상학적 판단중지와 현상학적 환원, 괄호치기란일련의 선입견과 편견을 보류하거나 배제하면서 경험의 근원적 의미, 즉 경험의 본질을 직관하려는 하려는 작업을 의미한다.

-일상적 가치나 신념의 작동을 중단하고 스스로의 인식 습관을 부단히 의심하며 개방된 태도로 자료를 바라보고 기술하려는 시도

 

2. 지오르지의 현상학적 연구의 과정(B147)

 

1) 연구의 목적: 현상(인간 경험)의 심도 있는 이해와 본질 탐구 (-임미영의 논문: 노인 자살시도 경험에 관한 연구) 노인의 자살 시도 경험의 전후에 노인이 갖게 되는 자살의 의미를 본질적으로 이해하는 것

2) 환원(본질 접근)을 어렵게 할 수 있는 심층적인 문헌고찰은 자제한다.

3) 참여자 선정:

적절성-연구에 대한 가장 좋은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참여자 선택하는 것

충분성-자료를 가능하면 넘치도록 수집하는 것

자신들의 경험을 반추해 볼 수 있는 참여자 선정

4) 자료수집: 인터뷰, 관찰, 체험을 직접 서술한 자료의 수집, 연구 주제에 관한 문학작품 수집 등이 있으며 이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인터뷰 방법이다.

5) 자료분석: 자료의 총체적 의미 파악 다양한 의미 단위로 구분 의미단위 확인 의미 단위 범주화 의미단위를 구조로 통합하여 기술

 

3. 사례

 

-여성 노인이 겪는 학대 경험의 의미와 본질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방법: 면담 방식

과정: 자료의 수집과 분석편견과 선 이해 배제

결과: 무시당함과 힘을 잃음무력감

일반화

 

<참고문헌>

 

성태제(2020). 교육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21). 질적 연구방법의 이. 서울: 박영story.

Anthony Giddens and Philip W. Sutton(2018). 현대사회학.김미숙·김용학·박길성·송호근· 신광영·유홍준·정성호(). 서울: 을유문화사(원저 2017 출간).

 

이전글 질적 연구방법- 민속방법론(ethnomethodology)
다음글 상징적 상호작용론, 문화기술지, 현상학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