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자료실

reference

자료실

홈으로화살표 자료실화살표 교육학일반

교육학일반

게시물 상세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철학 및 교육사〕 동학과 최제우의 교육사상
작성자 : edulab1( )   조회수 : 471

교육철학 및 교육사동학과 최제우의 교육사상

 

1) 동학의 등장 배경

 

동학(東學)19세기 후반 조선사회 전반의 부패와 모순을 혁파하고자 잔반(殘班, 몰락한 양반)출신의 수운(水雲, 최제우의 호) 최제우(崔濟愚, 1824~1864)가 창시한 독창적인 민족 신흥종교이다. 수운은 천주교(서학)의 급성장과 성리학의 지배력 약화로 인한 신분제의 동요, 서구 열강들의 침략전쟁 등 일련의 국내외 사태를 직면하고 국가 위기의식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당시 서로의 경계가 허물어지거나 순수성을 잃어 가던 유교불교도교 및 민간신앙과 서학까지 융합하여 새로운 세계관 및 윤리관을 만들어냈다. 동학이 내세운 기본 철학은 경천(敬天)사상, 민족주의, 반제국주의(반식민주의), 인내천(人乃天) 사상, 개벽사상(開闢思想, 일대 전환의 의미로 정신민족사회개혁을 추구하는사상), 민간신앙(특히 샤머니즘)등이었다.

동학은 시천주(侍天主, 절대자이며 초월적 존재인 천주를 모든 인간이 내재적으로 모신다는 의미이다.)사상의 최제우, 동학의 확산에 기여한 사인여천(事人如天, 사람과 하늘은 같으니 사람을 하늘처럼 섬기라는 의미)2대 교주 최시형(崔時亨, 1827~1898), 동학농민혁명의 선봉장이었던 녹두장군 전봉준(全琫準, 1855~1895)을 거쳐 인내천사상의 3대 교주 손병희(孫秉熙, 1861~1922)에 이르러 천도교(天道敎)로 개칭하였다.

 

2) 동학의 교육철학 및 교육사상

 

동학의 교육철학은 그들이 갑오농민전쟁 당시 혁명공약으로 내세운 폐정개혁안에서 찾을 수 있다. 1894(고종 31)농민군이 제시한 12개 개혁안은 다음과 같다.

동학교도와 정부는 여러 방면에 걸친 정사(政事)에 협력할 것

탐관오리는 그 죄목을 일일이 조사하여 엄히 벌할 것

횡포한 돈 많고 권력 있는 자들을 엄히 벌할 것

불량한 유림과 양반 무리의 못된 버릇을 제재할 것

노비 문서는 불태울 것

천인의 대우는 개선할 것

청춘과부의 개가를 허락할 것

이름도 없는 여러 가지 잡다한 세금은 일체 거두지 말 것

지연(地緣)을 타파하고 인재를 고루 등용할 것

일본과 간통하는 자는 엄히 벌할 것

공사채를 막론하고 모두 무효로 할 것

토지는 평균으로 나누어 농사짓게 할 것

 

폐정개혁안의 기본 정신은 인본주의이다. 교육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 신뢰와 인격적 만남이다. 아무리 훌륭한 교재가 있고, 유능한 교사가 있어도 미숙한 학습자에 대한 존엄과 인간적 상호 이해가 바탕이 되지 않으면 교육한 결과는 허무할 것이다.

동학의 기본 사상은 유교불교도교 및 민간신앙과 서학의 사상까지 융합한 인내천사상이다. 이는 모든 인간의 마음속에는 누구나 하늘과 같은 절대 선하고 귀한 본성이 있다는 의미로 인간존중사상의 극치를 보여준다. 따라서 동학은 생명존중의 사상을 인간존중사상으로 구체화 하여 유교 관습에 고착된 인간관을 버리고 아동여성농민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였다. 사람과 한울은 일원론적 통합의 존재이다. 그러므로 모든 인간을 한울님 대하듯(동학은 아이를 때리는 것은 한울님을 때리는 것이라고 함)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사람이 곧 하늘이다.’라는 뜻을 지닌 인내천사상이다. 모든 교육활동에 근본이 되는 사상이다.

임채식 외(2015)는 동학의 기본 사상에서 세 가지 교육사상을 끌어내어 다음과 같이 이름 붙였다. 인간존중 및 평등주의 교육사상, 도덕적 사회재건주의 교육사상 그리고 주체적 만족주의 교육사상 등이다.

 

3) 최제우의 교육사상

 

최제우의 교육사상의 근본은 시천주(侍天主: 자신의 마음 속에 하느님을 모신다는 의미) 사상이다. 시천주는 인간존중과 평등사상의 근간이며, 봉건질서를 부정하고 누구나 마음속에 하느님(한울님)을 모시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인간은 평등하다는 동학의 근본이념이다. 동학은 인간이 우주와 통합을 이룰 때 비로소 존귀한 존재가 된다고 한다. 수운 자신도 신비로운 지경에서 부적과 주문을 주며 어지러운 세상을 구제하라고 하는 하느님의 말씀을 들었다고 하였다. 그런 경지를 통합의 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시천주 사상은 수운의 핵심 사상으로 인간을 하늘과 동일한 가치를 지닌 존재로 보고 둘의 통합을 통해 생명존중, 인간존중을 도모한다. 수운은 시천주의 체득을 위하여 가정교육을 강조하였다. 동학의 가정교육은 어른들의 성실한 생활 속에서 그것이 자식에게 감화되어 그들이 그대로 실천하는 데 있다. 동학의 가정교육에서 특히 태교를 중시하는 것은 시천주의 존엄함에 대한 경건함에서 유래한다(주영흠, 2013).

최제우는 인간의 참된 삶은 동귀일체(同歸一體, 인간과 한울님의 본래의 마음으로 돌아가 서로 하나 됨을 이르는 말)를 깨닫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는데, 동귀일체는 당시 시대적 모순과 혼란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를 일깨워 주는 삶의 지표가 되었다(임채식, 2015).

최제우는 원래의 학문의 목적(성인군자)을 잃어버리고 과거시험으로 입신양명을 이루려는 유교 교육의 폐단을 지적하고, (), (), ()의 회복을 주장하였다. 교육방법 또한 유학의 주지주의 진리관에 바탕을 둔 반복암기식 공부방법을 지양하고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 간의 깊은 내면의 관계, 즉 인격적 만남의 관계를 보다 더 중요시하였다. 이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관을 엿볼 수 있는 수운의 인본주의 교육관이라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내면적 정신 자각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사해동포주의(四海同胞主義, 모든 사람은 모두 평등하다는 이념)에 근거한 수운의 인간주의 교육은 소외 계층의 인간적 자각을 위한 교육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동학사상은 특별히 교육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당시 지배적인 교육철학이었던 유학의 한계를 지적하고 극복하여 사회 구성원 전체의 이익을 뒷받침하는 새롭고 독창적인 융합의 교육철학을 제시하였다(김수동 외, 2017).

 

<참고문헌>

김수동 외(2017). 새로운 교육철학 및 교육사. 파주: 양서원

윤길근 외(2018). 거꾸로 배우는 교육철학 및 교육사. 파주: 양서원

임채식 외(2015). 교육철학 및 교육사.파주: 양서원.

주염흠 외 (2013). 교육철학 및 교육사.서울: 신정.

이전글 20세기 후반의 교육철학에 대하여
다음글 칼 같았던 경건주의자 칸트(Immanuel Kant)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