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자료실

reference

자료실

홈으로화살표 자료실화살표 교육과정

교육과정

게시물 상세
[교육과정이론] Shuwab(슈왑)과 Walter(워커)의 대안적 교육과정모형
작성자 : edulab1( )   조회수 : 773

Shuwab(슈왑)Walter(워커)의 대안적 교육과정모형

 

1. Shuwab(슈왑)의 실제적 교육과정 모형

 

슈왑은 본래 자연과학자이다. 그는 시카고대학교의 생물학과 교수였다, 그는 1969교육과정 분야가 죽어가고 있다(어떤 가치 있는 기능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아서 종말에 가까워진 상태를 일컫는 말, 즉 교육과정 개발을 주요 임무로 삼았던 교육과정학자들이 교육현장에서 소외되어 더 이상 설 자리가 없었음을 나타낸 말).”고 선언하였다(고재희, 2016; 소경희, 2018). 슈왑은 심각한 위기를 맞은 교육과정학 분야가 다시 살아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원리나 보편적인 법칙을 찾는 이론적 작업에 매달이기보다는 실제적이고 절충적인 방향으로 그 접근 방법을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예를 들면, 대학 세미나실이나 어떤 유명한 위원회 등에서 이루어진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결과는 그것이 적용될 특정 상황(학교 교실 등)에서 분리된 것이기 때문에 구체적 상황(수업 상황)에 잘 들어맞지 않는다. 따라서 슈왑은 교육과정 탐구나 개발과 관련하여 실제적인 탐구를 수행하라고 한다(고재희, 2016).

슈왑에 따르면, 교육과정 분야가 고사 상태에 이른 것은 그 분야가 교육과정 문제를 다루는데 적절하지 않은 이론들에 지나치게 의존한 탓이었다. 당시 교육과정 분야는 이론의 처방적 힘을 과도하게 믿었다. 슈왑은 타일러의 친구이자 동료로서 타일러의 주장을 존중했으나 타일러와 그 계승자들이 사용한 개발이라는 언어는 변형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슈왑의 교육과정 이론의 가장 중심적인 개념은 숙의이다. 그는 교육과정 문제는 개발이라는 말에서 숙의라는 새로운 말로 접근될 수 있다고 보았다. 슈왑은 교육과정 전문가들이 교육과정 개발을 안내하는 이론적인 활동으로부터 벗어나 각 학교의 구성원들이 교육과정 결정을 위해 일상적인 숙의 과정에 가담해야 한다고 보았다.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실천적인 추론이나 숙의에 관심을 둔 이론들은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처방을 제시하기보다는 그 구성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묘사한다는 점에서 서술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서술적인 이론화는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참여자들 간의 숙의가 매우 중요함을 잘 드러내고 있다는 점과, 처방적 이론화에 비해 교육과정 개발에 대해 좀 더 폭넓은 비전을 취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소경희, 2018).

 

2. Walter(워커)의 숙의(熟議) 모형

 

개념

교육과정의 실제 장면을 중시: 실제 상황에서 교육과정 개발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가를 현장에 좀 더 적절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교육과정이 이루어지는 실제과정을 묘사(기술)하였다.

과정지향적 모형: 결과보다는 의사결정과정이나 절차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자연주의적 또는 과정지향적 성격을 지닌다.

모형의 단계

 

토대(platform): 강령(참가자의 믿음이나 가치관)을 표방하는 단계로 참가자들은 이미 각자의 생각과 대안을 가지고 개발에 임하게 된다. 토대에는 개념, 이론, 이미지, 절차들이 혼재하며 참가자의 선호와 관심(강령)을 드러내는 단계이며, 동시에 참가자의 강령이 무엇인지 검토 및 토론하고 강령을 지지하는 자료를 구하는 단계

 

숙의(deliberation): 강령이 행동차원의 정책으로 전환되는 과정, 즉 현실적인 대안을 찾는 단계이다. 정보를 확인하고 대안을 상의하고 가능한 예상결과를 위해 교육과정 개발과의 목적과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확인한다.

- 이전 단계에서 제시된 자료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대안 도출대안 검토합의(합의 실패도 가능함)계속 진행

- 기탄없는 토론이 기대되나 혼돈스럽고, 대립적, 논쟁적이다.

숙의의 과정은 참가자들이 정치적, 관료적 압력 등에 의해 통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설계(design): 교육과정에 담으려는 내용, 즉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만드는 단계이다. 일정에 쫓기지만 여전히 숙의가 계속된다. 여러 회의를 거치면서 걸러지지 않고 살아남은 개인적 선호 및 집단의 정치적 측면이 여전히 설계에 반영된다.

 

특징

각 단계는 비선형적이며 잘 구분되지 않고 융통성 있는 모형이며 타협과 조정을 강조하는 모형이다.

교육과정 개발자들이 합리적 모형이 제안하는 처방적 접근법에 따르지 않고 있다는 데 착안하여 제안한 모형이다.

교육과정 개발과정의 관계성이 충실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교육과정개발은 어느 요소로도 시작 가능하다.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개발자들 간의 아이디어의 토론과 합의를 이루어 내는 숙의의 단계를 중시한다.

토대 다지기

(platform, 강령)

<자료>

숙의(deliberation, 대안 선정)

<정책>

설계(design)

 

 

<워커의 자연주의적 교육과정 개발모형 과정>

 

 

사용될 자료에 구체화된 일련의 관계=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자료와 그들 간에 나타난 관계들의 집합

이전글 교육과정 연구방법 및 모형 개발(1)
다음글 M. Skilbeck(스킬벡)의 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발 모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