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자료실

reference

자료실

홈으로화살표 자료실화살표 교육과정

교육과정

게시물 상세
[교육과정이론]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작성자 : Edu연구소1   조회수 : 3421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1. 교육과정(curriculum)의 의미  

   

교육은 누가(who), 언제(when-교육심리학), 어디서(where), 무엇을(what-교육과정), 어떻게(how-교육심리학), 왜(why-교육철학) 가르쳐야 하는가를 밝히는 광범위한 활동이다. ‘무엇을’에 해당되는 교육과정은 교육의 과정(過程, process)이 아닌 교육과정(敎育課程), 즉 가르치고 배워나가야 할 내용을 항목으로 열거해 놓은 ‘교수의 요목(要目, syllabus)’ 또는 “내용 없는 교육은 있을 수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공부의 코스(교육의 내용)’이다. 좁은 의미로는 ‘교과(교과서에 나와 있는 학문적 지식)’, 즉 수업시간에 가르치는 내용이라 하고 넓은 의미로는 학교 바깥에서 가르쳐지는 내용까지 포함한 ‘교육을 통해서 배워야 할 내용’이다. 세상을 모든 지식을 교과서에 모두 담을 수 없다.

 

교육과정의 포괄적인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체계는 지식, 인간, 사회, 자연, 환경, 문화 등을 보는 시각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2) 교육의 3요소를 교사, 학습자, 교육과정으로 볼 때 교육과정은 교육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교육기관의 질을 개선하고 변화시키는 중요한 변인이다. 

  

3) 라틴어 ‘쿠레레(Currére)’에서 유래하며 그 뜻은 ‘달리는 코스(길)’, 즉 학습자가 학습 의 목표를 향하여 달려가는 과정인 공부의 과정(course of study)을 의미한다. 

 

 

4) 의도적인 학교 교육에서 학생들에게 어떠한 교육목표를 성취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수 준의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해 놓은 공통 기준(교육과정=교육 내용)을 말한다. 

 

5) 교육과정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1) 항존주의자 허친스(Hutchins)-시․공간을 초월하여 불변하는 지식에 관한 내용의 계 열적, 체계적인 조직  

(2) 홀리스와 캠벨(Hollis & Campbell)-학습자가 교사들의 지도하에 가지게 되는 모든 경험의 총체 

(3) 타바(Taba)-교육과정은 학습을 위한 계획이다. 교육과정은 보통, 교육목표와 교육 목적의 진술을 포함한다. 이는 어떤 내용의 선정과 조직을 수반하고, 교육목표나 내 용의 조직을 통해서 어떤 형태의 학습과 교수를 의미하거나 나타내 주며 학습 결과 의 평가 계획을 포함한다.  

 

 

 

EMB000018282b8b

 

 

 

교육과정의 의미를 종합하면, 교과내용, 교육부에서 정한 교육과정의 내용 또는 지식의 내용과 구조를 말하며, 학교에서 학습자의 성장발달을 위해 의도적으로 제공되는 경험의 총체이다. 또한 인간을 인간답게 기르기 위해 필요한 모든 내용을 의미하며 의도된 교육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교육 활동계획이다. 간단히 말하면, 학습자들이 이수하고 실천해야 할 교수요목(敎授要目 course of study) 즉, 학습자가 공부해야 할 요점이다.  

 

<교육과정이 정당성을 가지려면 다음의 물음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①어떤 인간을 기르려고  하는가?  

 

②어떤 교육내용을 경험하면  그러한 인간이 되는가?

 

③그러한 교육내용을  어떻게 조직하고 구조화할 것인가?

 

결국 교육과정의 성패는  교사의 가르치는 능력(교사의 질)에 좌우된다. 아무리 목표가 훌륭하고 학습경험의 선정과  조직이 잘 되어 있어도 교사가 그것을 가르치는데 실패하면 교육 자체 도, 학습자도 그의 학습에서  실패하고 만다.

 

  

<교육과정 선정할 때 고려사항>

     

①철학적 고려-시대정신에 부합할 것. 어떤 인간상을 가장 가치 있는 것으로 보느냐? 

 

②사회적․문화적 고려-현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그 사회가 요구하고  필요 로 하는 것은 무엇인가?

 

③심리적 고려-교육과정 내용이 학습자들의 발달에 비추어 학습하기에 적절한가?,학습내용이  학습 자의 현 발달수준에 맞는가?  

 

  

2. 교육과정의 변천 

 

 

역사적으로 중요한 교육과정의 흐름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구분

 
 

교과중심  교육과정(subject curriculum)

 
 

경험중심  교육과정(experience curriculum)

 
 

학문(탐구) 중심 교육과정

 

(discipline centered curriculum)

 
 

인간중심  교육과정(human centered curriculum)

 
 

생태중심  교육과정(ecology centered curriculum)

 
 

시기

 
 

1920년대 EMB000018282b8c

 
 

1930년대 EMB000018282b8c

 
 

1960년대 EMB000018282b8c

 
 

1970년대 EMB000018282b8c

 
 

1990년대 이후

 
 

배경

 
 

▪교육과정이  학문적 영역으로 등장

 

▪교과를  가르치는 일에 관심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현실과의 거리감에 대한 회의

 

▪듀이의  진보주의 대두

 
 

▪과학발전, 지식 증가로 경험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회의

 

▪1957년10월4일 구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충격

 
 

▪지식주입식, 점수 따기 식의 비인간화 교육에 대한 비판

 

▪인간성  회복을 주창하는 인본주의의 대두

 
 

▪인간중심적  세계관에 대한 반성

 

▪지구  생태계의 위기 극복 방안 모색

 
 

정의

 
 

▪교수요목(要目)

 
 

▪지도된 경험

 
 

▪구조화된 지식

 

▪탐구과정의 지식

 
 

▪경험의 총체

 
 

▪생명과 환경탐구

 
 

실체

 
 

▪획일적 교과(문서)

 
 

▪아동 중심, 경험

 
 

▪수학,과학 중시, 문서

 
 

▪전인교육 강조, 경험

 
 

▪생명종중 및 경험과 실천

 
 

특징과

 

강조점

 
 

▪획일적

 

▪교사중심

 

▪교육은 문화유산의 전달

 

▪목표-지적인 인간형성

 
 

▪루소

 

▪아동, 흥미, 생활중심

 

▪개별화교육-개인차에 따르는 학습 용이

 

▪교재보다 생활, 지식보다 행동, 분석보다 종합, 미래의 준비보다 현재생활 중시

 

▪목표-창의적인 성격 육성

 

▪교육이란 끊임없는 성장의 과정

 
 

▪Bruner

 

▪학문의 기본 요점 이해 한 후 탐구, 발견 학습 가능

 

▪직관적 사고 중시

 

▪내적 보상에 의한 동기유발 강조 (스스로 해결했다는 희열)

 

▪수학, 과학 강조

 

▪지식의 구조화, 기본개념,  원리 및 탐구 방법 강조

 
 

▪전인교육지향

 

▪인간의 존엄성, 자율성 강조

 

▪표면적, 잠재적 교육과정 (학교가 계획적으로 의도하지 않았던 학습의 결과를 초래하는 교육과정으로 문서화나 자료화가 곤란한 분야에서 은연중에  배우게 된다.-규율, 교사의 행동, 가치관 등)포함

 
 

▪생명 존중

 

▪산업문명의 위기 극복

 
 

 

근래에 개정된 우리나라 ‘7차 교육과정’과 ‘2009/2015 개정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7차 교육과정이란> 

2005학년도 대입제도 변경은 새로운 교육과정인  7차교육과정이 2004년까지는 고교 3학년까지 모두 적용되기 때문이다. 7차교육과정은 2000년 초등학교 1.2학년에 적용된 것을 시작으로 ▲2001년 초등학교 3, 4학년,  중1 ▲2002년에 초등학교 5, 6학년, 중2, 고1 ▲2003년 중 3, 고2▲2004년 고3에  차례로 적용된다.

 

7차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초등학교 1학년∼고교 1학년까지 10년간은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으로 정해 10개 과목을 배우게 하되 학생별로‘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고교  2, 3학년은 ‘선택중심 교육과정’으로 정해 학생들이 학업수준과적성에 맞게 배울 과목을 선택해 심화학습하게 하는 것이다.

 

초등학교부터 고교 1학년 때까지는 그야말로 국민으로서 갖춰야 할 기본 소양을 공통적으로 익히게 하고 고교 2, 3학년 때는 진로에 맞춰 각자 다른 심화과정에 집중하게 해 전 국민이 초․중고 과정을 똑같은 과목만 배워  전과목 총점을 기준으로 한 줄을 세워 대학에 가게 하는 교육체제를 탈피하자는 취지다.

 

이처럼 고교 2, 3학년 때 전면 선택과목제가 도입됨에 따라 지금과 같은 인문계. 자연계, 예‧체능계 등 계열 구분이 원칙적으로 사라진다. 고교 1학년 때 배우는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에 포함된 과목은 국어, 도덕, 사회(국사포함), 수학, 과학,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영어  등 10개 과목이다. 고교 2, 3학년 때 배우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에는 26개 일반선택과목과  53개 심화선택과목 등 총 79개 과목이 포함돼 학생들이  선택하도록 했다.

 

그러나 7차교육과정 적용에 따라 고교에서 학생선택에 따른 세부전공과목 교사수급난이 생기고 특정인기과목만 편중 선택하는  부작용이 있고, 대학들의 입학전형계획도 복잡해질 수 밖에 한동안 잡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제7차 교육과정을 거쳐 2015개정교육과정까지> 

참고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기존의 차순으로 이루어진 교육과정이 아닌 수시로 개정하는 교육과정이므로8차 교육과정은  잘못된 명칭이다. 그러므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을 8차 교육과정이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된 것이며 결국 2009 개정  교육과정은 7차 교육과정을 개정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2009년 12월 23일에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 호로 고시된 교육과정으로, 학교 자율성과 창의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2008년까지는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불렀으나 현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 개정교육과정에서는 학기당 이수과목을 최대 5과목  줄이고 교과 집중이수제를 도입해 예/체능 등의 과목을 특정 학기에 몰아서 수업하며 학교 자율에 따라  교육과정을 20% 범위 내에서 증감 운영할 수 있게 했다. 예를  들어 음악과 미술을 음악/미술로 성적표에 한 과목으로 표기하여 한 학기에 음악 또는 미술 둘 중  한 과목을 이수하고 예/체능을 등급으로 표기하기 않고 우수/보통/미흡의 3단계로 기록한다. 또한  고등학교 때 배우는 생물의 교과를 생명과학으로 개명하고 1학년 때 배우는 과학을 배우지 않고 학교  자율에 따라 고 2때 배우는 물리, 화학, 생명과학(생물), 지구과학  중 2과목을 선택하여 1학년 때 배우게 되고 음악/미술과 마찬가지로 한 학기에 한 과목만을 성적에 반영한다.

 

집중이수제의 도입으로 한 학기에 8개 과목 이상을 배울 수 없게 되어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체육을  기본적으로 하고 학교에 따라 사회, 역사, 기술/가정, 도덕, 음악, 미술과 같은 과목은 한 학기에 몰아서 수업하거나 한 학년 때 3년치  수업과정을 모두 배우기도 한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자유학기제다. 자유학기제에 관한 내용은 다른 장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한다.

 

 

이전글 교육과정의 개념
다음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