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자료실

reference

자료실

홈으로화살표 자료실화살표 교육과정

교육과정

게시물 상세
[교육과정이론]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대두
작성자 : Edu연구소2   조회수 : 947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대두

 

 1. 대두의 배경

 

 1950년대부터 미국에서는 당시의 교육, 즉 진보주의 교육사조에 입각한 소위 생활적응교육이 학생들에게 무엇인가 중요한 내용을 가르치는 데에 실패하고 있다는 우려가 널리 퍼져 있었다. 생활적응교육은 1920년대부터 1940년대에 미국의 학교 교육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실천되었던 Dewey의 진보주의 교육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생활적응교육이 결정적으로 비판을 받게 된 계기는 미국이 소련과의 우위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없게 된 사건에서 비롯된다. 교육비판가들은 당시의 미국 교육으로는 미국이 소련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학교가 무엇을 가르쳐야 할 것인가를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김재춘 외, 2005).

 195710월에 소련이 미국보다 먼저 스푸트니크 인공위성을 발사함에 따라 미국 교육의 위기가 고조되었다. 1950년 이전부터 제기되어 왔던 교육과정 개혁운동이 이 사건을 계기로 더욱 가속화되었다. 19599월에 매사추세츠 주의 Woods Hole에서 각 분야 전문가 35명이 모여서 미국 교육의 근본적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10일간의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를 통해서 미국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가 현재 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는 교과의 성격에 있다는 점이 합의되었으며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지식의 구조라는 개념이 제안되었다. 이 회의에서 제안된 지식의 구조라는 개념은 학교 교육과정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게 되었다.

 

 2. 학문중심 교육과정 이론가들

 

 Bruner가 지식의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교육과정 문제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 기존의 교과중심 교육과정에서 중시하는 교과 지식에 대한 입장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학습자 중심의 활동 교육과정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적 수월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교과는 새롭게 부활하였고 지식의 구조라는 의미에 비추어서 그 의미가 새롭게 제시되었다. 이러한 입장에서 교과는 학문과 동일한 것이며 학문을 탐구하는 활동의 측면에서 교과를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Bruner 이외에도 학문의 구조를 제시한 Schwab, 의미의 영역을 제안한 Phenix, 교과를 인지적 및 평가적 지도로 보는 Broudy, 지식의 형식을 제안한 PetersHirst 등이 있다. 이들은 교과의 가치를 종래와는 다른 방식으로 정당화하였다(강현석주동범, 2004).

 

 

 3. 참고문헌

 

김진규(2015). 교육과정과 교육평가(3). 동문사.

 

이전글 교육과정이론- 형식도야이론
다음글 Tyler의 8년 연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