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자료실

reference

자료실

홈으로화살표 자료실화살표 심리검사

심리검사

게시물 상세
[심리검사 이론] 내용타당도의 증거
작성자 : Edu연구소2   조회수 : 2125

 

내용타당도 증거

 

1. 정의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는 검사의 문항, 질문, 목적이 측정을 위하여 규정된 내용 영역이나 전체를 얼마나 잘 대표하느냐의 정도를 말한다. 내용타당도는 논리적 사고에 입각한 논리적 분석과정으로 판단하는 주관적인 타당도로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하지 않는다. 이는 검사내용 전문가에 의하여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을 제대로 측정하였는지를 주관적으로 판단한다.

 내용타당도의 핵심은 검사의 문항이 측정하기 위한 내용을 어느 정도 대표하고 있는가의 정도, 대표성(representativeness)을 확보하는 데 있다. 대표성이 높은 검사는 내용영역의 모든 측면을 골고루 측정한다. 여기서 내용은 교과영역과 인지과정을 포괄한다. 대표성은 검사가 갖추어야 할 매우 중요한 요건이다. 왜냐하면 검사는 문항 전집에서 추출하여 구성한 문항표본으로 점수에 근거하여 문항 전집의 정답률을 추론하기 때문이다. 만약 문항들이 문항 전집을 제대로 대표하지 못하면 점수에 근거한 추론은 오류를 범하게 된다. 내용타당도가 높다는 것은 검사문항들이 내용영역과 인지과정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내용타당도는 문항의 적절성에 대한 증거를 중시한다. 문항의 적절성이란 하나하나의 문항이 필수목표 혹은 내용과 부합되는 정도를 말한다. 그러므로 문항이 목표가 지향하고 있는 내용이나 기능을 측정하면 내용타당도를 갖고 있다. 문항의 적절성을 검토하면 문항이 목표나 내용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내용타당도의 두 가지 기본적인 물음은 다음과 같다(권대훈, 2008).

 

검사가 전체 영역을 대표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문항이 측정하려고 하는 수업목표(내용, 특성)에 부합되는가?

 

 내용타당도와 유사한 용어로 안면 타당도(face validity)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안면타당도는 문항들이 피험자들과 얼마만큼 친숙하게 보이는가를 말한다. 교과 타당도(curriculum validity)는 검사문항과 교수목표와의 일치도 또는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관찰해서 기술하는 내용타당도이다. , 개개 문항의 내용과 형식이 주어진 교수목표에의 도달 정도를 평가하는데 얼마만큼 적절한가를 따져서 이론적으로 설명한 것이 교과타당도이다. 학업성취도 검사에서 교과, 교수타당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으로 구성되는 이원분류표의 작성이 아주 중요하다.

 

2. 추정방법

 

 내용타당도는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므로 객관적 자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내용타당도가 높다 혹은 낮다로 표현할 수 있을 뿐이다. 검사내용의 분석에 의하여 내용타당도가 높다 혹은 낮다로 표현함은 검사내용 전문가의 전문 지식에 의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임의적 판단이 아님을 전제한다. 특히 학업성취도 검사의 내용타당도는 검사제작 전에 작성한 이원분류표에 의하여 문항들이 제작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하여 검증된다.

 

3. 장단점

 

 내용타당도는 계량화되어 있는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하여도 전문가들의 판단에 의하여 검사의 타당성을 입증받게 되므로 검사의 목적에 부합하는가의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문가들이란 어느 특정 영역에서 공통된 인식을 고유하므로 검사의 타당성 입증에 다른 견해를 표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그러나 정의에 대한 통일된 인식이 없는 특성, 특히 정의적 특성을 측정할 때 전문가마다 각기 다른 견해를 가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내용타당도에 대해 각기 다른 검증결과가 나올 수 있다. 예컨대, 성격에 대한 정의가 60개 이상 존재하기 때문에 한 연구자가 작성한 성격검사에 대하여 어떤 전문가는 내용타당도가 있다고 평가하였으나, 다른 전문가는 내용타당도가 없다고 평가할 수 있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내용타당도는 계량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타당성의 정도를 표기할 수 없는 단점도 지니고 있다(성태제, 2005).

 

4. 참고문헌

 

김진규(2009). 교육평가의 탐구 이야기. 동문사.

이전글 구인타당도의 증거
다음글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