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자료실

reference

자료실

홈으로화살표 자료실화살표 교육학일반

교육학일반

게시물 상세
[교육철학 및 교육사] 철학의 영역
작성자 : Edu연구소1   조회수 : 610
철학의 영역
 
 


철학의 각 영역별로 문제 삼았던 주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의 결과는 교육원리의 개발에 응용한다. 철학의 지식을 교육의 이념과 이론 구성 및 실천에 결합시킨다. 철학의 각 영역을 살펴보도록 하자.

1) 이론철학-지식의 획득을 목적으로 삼는 철학

(1) 존재론(ontology) 또는 형이상학(meta초월+physics자연학)

존재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제1철학이라고도 한다. 이는 여러 존재자들로 하여금 그들을 존재하게 하는 근본 원리에 대한 학문으로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는 철학의 영역이다. 존재론은 경험의 세계를 초월하여 불변(不變)하는 실체(실체, substance, 외형의 원래 모습)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존재론은 종교(신학)와 공통된 면이 있다. 중세의 신학자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5~1274)는 형이상학을 초자연적인 것 일체에 관한 사상이라 하였다. 그러나 형이상학은 이성 또는 지성을 통하여 인식에 도달하나 신학은 절대자의 계시(啓示, 신의 가르침)에 의존한다. 형이상학적인 것, 즉 형이상자(形而上者, 정신적인 존재)를 보는 견해 차이로는 유물론(唯物論, materialism, 물질이 정신을 지배한다는 사상으로 공산주의 철학의 기본이 되는 이론이다.)과 유심론(唯心論, spiritualism, 유물론과 대립되는 이론)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 짓는다.
 
① 유물론: ‘물질’을 뜻하는 라틴어 materia가 어원이다. 유물론은 물질이 유일한 실재이며, 물질을 정신적 삶을 설명해 주는 근본적인 실재로 본다. 물질은 정신으로부터 독립해 고유하고 자율적 법칙에 의해 지배되는 실재이다. 천민자본주의자들은 ‘돈이 최고야, 돈으로 안 되는 일이 없지.’라고 외친다. 이런 정신을 유물론적 사고라고 한다. 물질만능주의를 낳기도 하는 사고방식이다.
② 유심론: 관념론(idealism)이라고도 한다. 관념론이라는 말은 17세기에 이르러 유물론에 대비되어 만들어졌다. 형이상학에서 관념론은 관념이 감각적 세계보다 더 참된 존재이다. 예를 들면 플라톤의 이데아(Idea)의 세계는 ‘참된’ 실재이다(Élisabeth Clément et al, 1994).

(2) 인식론(epistemology) 또는 지식론(theory of knowledge)

인식론 또는 지식론이란 지식의 기원(도대체 진리란 무엇인가?)과 구조 및 한계(어디까지 알 수 있나?), 인식의 방법, 인식의 타당성, 진리와 허위를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철학의 한 부문으로, 서로 대립되는 합리론과 경험론, 실재론과 관념론 등이 있다.
 
① 합리론(rationalism): 합리론 또는 합리주의는 인식(경험으로 주어진 것들을 수용하고 그것들을 설명하거나 이해하려는 행위) 또는 현실의 설명 수단으로서 이성을 특별히 중요하게 여기는 이론이다.
② 경험론(empiricism): 감각주의라고도 부르는 경험론에서의 인식은 감각적 외부 경험에 의해 형성된다고 본다. 프랑스의 합리론자 데카르트(Descartes)가 말하는 본유관념(本有觀念, 생득관념으로 감각이나 경험에 의해서가 아니라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이미 가지고 있는 선험적 관념)을 부정한다.
③ 실재론(realism): 현실주의, 사실주의 등으로 번역되는 실재론은 정신으로부터 독립적인 실재의 존재를 긍정하는 이론이다.
④ 관념론(idealism): 관념(idea)이 감각적 세계보다 더 참된 존재로 보는 이론이다.
2) 실천철학
인생을 위하여 소중한 가치의 실현을 궁극의 목적으로 삼는 철학이다. 윤리학과 미학 등이 있다.

(1) 윤리학(ethics)

윤리학은 인간 행위의 선악(善惡), 시비(是非)의 문제를 다룬다. 윤리학 외의 과목에서는 그 사회의 도덕사상을 그대로 받아들여 이를 피교육자에게 투입시키는 것을 사명으로 하는 반면, 윤리학은 그것을 공부하는 사람 스스로가 정답을 발견해야 한다. 윤리학의 근본 사명은 현재의 도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를 판결하고 나아가서는 새로운 행위규범을 발견 또는 창조하는 것으로, 기존 도덕에 대한 회의(懷疑)적 태도, 비판적 태도가 윤리학의 출발점이다. 윤리학에서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선악, 시비를 판정하는 기준은 무엇인가?’하는 문제이다. 이 물음에는 답은 다양한 관점에서 말해진다.
 
① 목적론: 인간이 추구해야 할 궁극적인 목적을 제시함으로써 선악, 시비의 판단 기준을 밝힌다.
② 법칙론: 인간이면 누구나 지켜야 할 도리(道理), 즉 행위의 법칙이 이미 주어져 있다는 전제 아래, 그 법칙을 발견함으로써 윤리적 평가 기준의 문제에 답하고자 하는 학설
③ 결과주의: 최선의 결과를 가져오는 행위로 그 행위의 도덕적 성격은 상황에 다라 달라진다.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하는 잘못된 생각이 수용될 수 있다.
④ 동기주의: 시비, 선악의 기준을 세울 때 중요한 것은 그 기준을 세우는 올바른 방법이 무엇이냐의 문제이다.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기준을 어디서 찾을 것인가와 윤리학에서 또 다른 근본적인 문제는 ‘선악, 시비를 판정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이다.
⑤ 형이상학적 윤리설: 형이상학적 지식을 근거로 삼고 인생의 목적 또는 행위의 법칙을 발견한다.
⑥ 자연주의적 윤리설: 경험적 사실에 관한 지식을 근거로 인생의 목적 또는 행위 의 법칙을 추리해 내야 한다고 주장한다.
⑦ 직각론적(直覺論的) 윤리설(intuitional ethics): 어떤 다른 지식에 의존함 없이 선천적으로 주어진 능력을 통해 직접적으로 시비, 선악의 원칙을 인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다음 <표 1-1>은 같은 인간 행위를 판단하는 기준이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다.
 
<1-1> 인간 행위를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

윤리적 쟁점
윤리설
윤리적 관점
유형
윤리적 판단의
근거는 무엇인가
의무론
(법칙론)
사람이 따를 수 있는 보편적인 도덕규칙(옳은 행위와 그른 행위를 분간할 수 있는 도덕법칙에 따르는 행위=선)
의무론적 윤리설,
칸트의 윤리사상
동기주의
도덕적 선은 완전한 의무의식(선의지), 실천이성의 명령(정언명령≠가언명령)에 의한 행위
목적론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인생의 궁극적인 목적은 최대 다수에게 행복을 주는 행위=선)의 목적에 부합하느냐의 여부
목적론적 윤리설, 공리주의,
윤리적 쾌락주의
결과주의
최선의 결과를 가져오는 행위로 그 행위의 도덕적 성격은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 결과가 좋으면 다 좋다는 생각을 한다.
행복은 인간의 궁극적인 목적인가
쾌락주의
모든 쾌락은 그 자체가 선한 것, 좋은 것이다.
윤리적 쾌락주의
이성주의
개인적 욕망, 감정을 벗어나 합리적 판단에 의한 행위는 선이다.
칸트의 윤리사상
객관적인 도덕 원칙은 있는가
주관주의
도덕 판단(도둑질은 나쁘다.)은 언제나 판단하는 사람의 심리상태(욕망, 성향, 감정)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윤리적 상대주의
객관주의
도덕 판단은 과학적으로 참과 거짓을 가릴 수 있는 판단이다.
공리주의
윤리는 불변인가, 변하는 것인가
절대론적 윤리설
윤리는 인간이 마음대로 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미 선천적으로 주어진 절대불변의 것이다. 그러므로 윤리규범의 구속적 속성을 당위적 입장에서 받아들인다. 선한 행동이란 언제 누구에게나 보편타당한 절대적 행위 법칙에 따르는 행위이다. 윤리는 시공(時空)을 초월한 절대적이고 객관적이며 보편적인 행위 규범이다.
의무론적 윤리설
상대론적 윤리설
윤리는 관습이 체계화된 것으로 한 사회의 목표나 개인의 욕구충족에 도움이 되는 행위는 시인(是認) 받고 그렇지 못한 행위는 비난을 받거나 제재를 당함으로써 옳은 행위와 그른 행위가 만들어진다. 윤리는 상대적이고, 개인적이며, 주관적이고, 특수한 행위 규범이다. 사회가 변하면 윤리도 변한다.
공리주의 윤리설
  

(2) 미학(aesthetics)

미학이란 인간의 미적 능력 또는 미적 체험에 대한 형이상학적 또는 심리학적 분석을 주로 하는 철학의 한 부문이다. 미학이라는 말은 아름다움에 대한 이론을 가리킨다. 더 정확히 말해 미학은 아름다움의 감수성에 대한 이론을 말하며, 더 특수하게는 예술적 아름다움에 대한 이론을 말한다. 미학은 개별적인 예술작품을 다루는 비평과는 구분된다(Élisabeth Clément et al, 1994).
3) 논리학(형식논리학 formal logics)
논리학이란 철학 연구의 도구로써 ‘사유의 형식(법칙)에 관한 학문’으로 논리학의 문제는 ‘사람들이 어떻게 사유하느냐?’가 아니라 ‘사람들이 어떻게 사유하는 것이 옳으냐?’는 것이다. 올바른 사유를 하기 위해 지켜야 할 규범적 규칙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논리학은 내용은 문제 삼지 않는다. 논리적 모순만 없으면 옳은 사유가 된다. 사유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귀납법과 연역법이 있다.
 
① 귀납법(induction): ‘이끌어 내는 행위’를 뜻하는 라틴어 inductio에서 유래한 말로 특수한 경우에서 일반적인 법칙을 이끌어 내는 추론(주어진 몇 개의 단서를 가진 한 관념으로부터 다른 관념을 미루어 생각하는 행위로서, 추리라고도 한다.) 방법이다.
② 연역법(deduction): ‘이끌다’를 뜻하는 라틴어 decere에서 유래한 말로 주어진 전제로부터 출발해 필연적으로 결론을 이끌어 내는 사유의 법칙으로 귀납법과의 본질적 차이는 엄밀하게, 즉 필연적으로 추론할 수 있게 해 준다. 수학적인 방법이라고도 한다.

4) 그 외 철학의 영역

영역
내용
역사철학
역사의 의미와 역사 인식 및 역사의 과정을 다루는 철학의 영역
사회철학
사회의 의미와 본질 및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원리 등을 탐구하는 철학의 영역
법철학
법에 관한 근본적인 물음, 즉 법의 정체, 법의 목적, 법의 가치 등을 연구하는 철학의 영역
정치철학
정치의 의미와 본질 및 가치에 근원적인 물음에 답을 찾으려는 철학의 영역
종교철학
종교의 의미와 본질 및 가치를 분석․비판 및 종합하려는 철학의 영역
  

 

 
이전글 교육과 교육철학
다음글 교육갈등의 해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