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자료실

reference

자료실

홈으로화살표 자료실화살표 교육학일반

교육학일반

게시물 상세
[교육심리학] 자아방어기제(적응기제, Defence Mechanism)
작성자 : Edu연구소1   조회수 : 4704

자아방어기제(적응기제, Defence Mechanism)

 

- 자아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속이거나 상황을 다르게 해석하여, 감정적 상처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심리 의식이나 행위를 가리키는 정신분석 용어.

- 자아가 id의 충동적 출현으로 위험상황을 만들 것이라고 판단할 때, 위험신호로서 불안을 일으키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어작용으로 나타나는 것.

- 자아방어기제가 정상적인지 병리적인지는 1)균형 2)강도 3)연령적절성 4)철회가능성으로 구별

(예) 이 말은 1894년 지크문트 프로이트의 논문 《방어의 신경정신학》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방어기제는 자아와 외부조건 사이에서 겪게 되는 갈등에 적응하도록 하여 인간의 심리 발달과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다는 면에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갈등 자체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속이고 관점만을 바꾸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사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게 되는 부정적 역할을 하기도 한다. 방어기제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주로 부정, 억압, 합리화, 투사, 승화 등의 방법이 일반적이다.

①부정은 외적인 상황이 감당하기 어려울 때 일단 그 상황을 거부하여 심리적인 상처를 줄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돕는 방법이다. 이러한 상황은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극단적인 경우에 잘 나타난다. 억압은 불쾌한 경험이나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욕구, 반사회적인 충동 등을 무의식 속으로 몰아넣거나 생각하지 않도록 억누르는 방법이다. 억압은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므로 의도적인 망각과는 차이가 있다. 본능적인 충동이나 금지된 행위는 억압을 통하여 노골적인 행동을 자제하게 된다.

②합리화는 상황을 그럴 듯하게 꾸미고 사실과 다르게 인식하여 자아가 상처받지 않도록 정당화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스스로 인정하기 어려운 상황을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그럴 듯한 이유를 붙임으로써 자존심이 손상당하거나 죄책감을 느끼는 것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합리화는 대부분 자신이 간절히 바라는 어떤 것을 이루기 어려울 때 그것의 가치를 낮추는 것과, 인정하고 싶지 않은 것을 인정해야만 할 때 그것의 가치를 높이는 두 가지 경향으로 나타난다. 또한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므로 거짓말이나 변명과는 다르다.

③투사는 자신의 감정이나 동기를 다른 사람에게 돌려서 어려움에 대처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을 미워하여 해치고 싶은 충동을 느꼈을 때 자신의 증오심을 상대에게 떠넘겨 그 사람이 자신을 미워해서 해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는 경우이다. 투사는 자신의 욕구나 문제를 옳게 깨닫는 대신 다른 사람이나 주변에 탓을 돌리고 진실을 감추어 현실을 왜곡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방어기제이다.

④승화는 반사회적 충동을 사회가 허용하는 방향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성적 충동은 누드를 그린다거나 관능적인 춤을 추는 것 등을 통해서 사회가 인정하는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이것이 승화이다. 공격적 충동은 권투나 야구, 축구와 같은 공격적인 스포츠를 함으로써 표현될 수 있다.

 

그 외는 다음과 같다.

1. 억압(repression)-무엇을 잊고 더 이상 행하지 않겠다는 통속적인 해결(예를 들어, 실수, 기억상실)

2.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무의식 속에서 용납할 수 없는 충동을 반대의 감정으로 대치시켜 표현하는 것. 미운 놈 떡 하나 더 준다. 자기에게 총을 겨누는 사람에게 화를 내는 대신, 미소를 지으며 "오늘도 행복하기를 바라네'라고 축복해 주는 것. 즉 자신의 감정과는 정반대의 태도를 취함으로써 불안을 처리하는 것.

3. 퇴행(regression)

-처리하기 곤란한 문제에 봉착했을 때, 어릴 때 효과적이었던 방식으로 되돌아가 해결하고자 하는 것. 동생을 둔 아이가 동생으로부터 부모의 애정을 빼앗기 위해, 어리광을 부리고 떼를 쓰는 행동 등. 욕구좌절에서 오는 고착

4. 격리(isolation)

-과거의 고통스러운 기억과 연관된 감정을 의식으로부터 떼어 내어 격리시키는 것으로 말 그대로 불안과 고통을 잊기 위해, 실제 감정으로부터 자신을 격리시키는 것. 예를 들어,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는데, 오히려 친구들과 웃고 떠들며 슬픔을 느끼지 않는 것.

5. 취소(undoing)

-용납할 수 없거나 죄책감을 일으키는 행동, 사고, 감정을 상징적인 방법을 통해 무효화시키는 것. 예를 들어 아이가 동생에게 화가나 때린 다음에 곧바로 끌어안고 미안하다고 하며 입 맞추는 것.

6. 투사(projection-지나친 비판, 부정적인 태도, 편견 등의 문제 유발)

-갈등의 원천이나 소망, 충동 등을 타인이나 또는 그 문제에 관련된 외부세계에 있는 어떤 대상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 너 때문에 그렇잖아. 차가 늦게 와서 늦었어.

7. 내사(introjection 투입, 섭취-외부대상의 속성을 제 것으로 동화=모두 자기 책임으로 받아들임)

-애증과 같은 강한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자기로 간주하여 자기의 내면세계로 받아들이는 것. 예를 들어 남편이 죽은 뒤 슬픔에 빠진 부인이 마음속의 남편 이미지와 실제 남편을 동일시하여 마음속 남편과 이야기하기도 하고, 남편이 미워 남편을 죽이기 위해 자신을 죽이기도 하는 것으로 투사와는 반대되는 개념.

8. 자기에로의 전향(turning against self)

-공격성 같은 본능적인 충동이 남이 아닌 자기에게로 향하는 것을 말한다. 개인이 위급한 사태에 대비하여 충동의 대상과 무의식적으로 동일시하면서 사용하는 기제. 예를 들어, 무의식에 증오하는 아버지를 가진 사람이, 현실의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 심한 우울에 빠질 수 있다. 왜냐하면, 현실의 아버지를 향하던 증오가 자신에게로 전향되어 자기 내부의 아버지를 향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9. 역전(reversal)-감정, 특징, 관계, 방향을 반대로 변경하는 것, 반동형성보다 더 일반적이며 광범위

10. 승화(sublimation)

-유아적 충동의 파생물에 대해 사회적인 승인이나 인정을 받는 대리적인 활동으로 표출하는 것. 예를 들어 공격적인 사람이 유명한 권투선수가 되는 것.

11. 부정(denial)

-외부현실의 불유쾌하고 원치 않는 부분들을 부정하는 방식. 알코올중독자의 가장 큰 특징은 자신의 병을 부정하는 것으로, 부정하면 치료받을 병도 없다. 타조는 위험에 처하면, 머리만 파묻고 숨긴 채 위험을 부정한다. 우리 속담에 눈 가리고 아웅한다와 같다.

12. 동일시(identification)

-부모, 형, 윗사람, 주변의 중요한 인물들의 태도와 행동을 닮는 것을 말한다. 자아와 초자아의 형성에 가장 큰 역할을 하며, 동일시를 통하여 부모가 자식의 성격 내부에 들어오게 된다. 동일시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1) 투사적 동일시(projective identification) 닮지 말아야 할 사람, 닮지 않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닮는 것을 말한다.

2) identification with aggressor 두려운 대상의 특징을 닮아 자기 것으로 함으로써 두려움을 극복하는 것. 예를 들 어, 어린아이가 도깨비흉내를 냄으로써 도깨비의 공포로부터 벗어나는 것. 어머니로부터 학대당한 환자가 치료자를 괴롭히는 것은 자신의 공격자였던 어머니와 동일화함으로써 불안을 방어하는 것. 호된 시집살이를 한 며느리가 나중 에 호된 시어머니가 되는 것도 이것 때문이다.

3) "as if" personality, pathological identification 마치 누구인양 행동하는 동일화. 강한 사람의 행동을 흉내 냄으로 써 자신도 그렇게 되었다고 믿고 현실적응을 하는 것으로서 진정한 의미의 identity를 형성했다고 볼 수 없고, 따라 서 진정으로 우러나오는 감정도 없다. 말 그대로 마치 무엇인 것처럼 행동하므로, 대상이 쉽게 변화될 수도 있다. 주 관 없는 기회주의자의 태도. 독재자에게 아부하는 해바라기 정치꾼, 남의 작품을 모방하는 예술인, 신흥종교의 광신 도들.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들이 많이 사용.

13. 합리화(rationalization)

-자존심을 유지하고 죄책감을 막기 위해, 행동의 실제 원인대신 그럴 듯 한(사회적으로 허용되는) 이유를 대는 것.‘저 포도는 신포도야’퇴짜 맞은 남자가 ‘그녀는 얼굴만 예뻤어 말이 통하지 않았어.’부인의 머리를 쇠망치로 내리치면서, 당신 머리 위에 파리가 있어서... 라고 하는 것.

14. 전치(displacement)

-좌절에서 오는 긴장을 덜기 위해 본능적인 충동을 덜 위협적인 대상으로 옮기는 것. 예를 들어 농담

15. 전환(conversion)

-심리적 갈등이 신체감각이나 수의근육계의 증상으로 표출되는 것. 예를 들어, 두통, 갑작스런 마비 등

16. 보상(compensation)-실제든 상상이든 자신의 결함을 메우거나 체면을 유지하려는 무의식적인 노력

17. 상환(restitution)-무의식적인 죄책감을 씻기 위해 고통을 감수하는 것

 

▶방어기제와 관련된 속담

1. 투사-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 잘되면 내 탓 못되면 조상 탓. 실력 없는 목수가 연장 탓한다.

2. 보상- 가난할수록 기와집 짓는다. 글 못한 놈이 붓 고른다. 빈 수레가 더 요란하다. 작은 고추가 더 맵다 없는 놈이 있는 체, 못난 놈이 잘난 체

3. 동일시- 과부사정은 과부가 안다. 대신 댁 송아지 백정 무서운 줄 모른다. 뱁새가 황새 따라가다 가랑이 찢어진다. 부 모가 착해야 효자 난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4. 반동형성- 귀한자식 매한대 더 때리고 미운자식 떡 하나 더 준다. 나간 며느리 효도한다. 방귀뀌고 성낸다. 미운 사람 에게 쫓아가 인사한다.

5. 전치- 때리는 시어머니 보다 말리는 시누이가 더 밉다.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 가서 눈 흘긴다.

6. 합리화- 게으른 여편네 아이 핑계대 듯. 내가 중이 되니 고기가 천하다. 이기면 충신 지면 역적. 처녀가 애를 나도 할 말은 있다. 핑계 없는 무덤이 없다.

7. 부정- 귀 막고 방울 도적질 한다. 꿩은 머리만 풀에 감춘다.

8. 승화- 홀아비는 이가 세말, 과부는 은이 세말이다(여자는 알뜰하다). 어려서 굽은 나무는 후에 안장감이다.

9. 대치- 꿩 대신 닭

 

 

이전글 정서(emotion)란 무엇인가?
다음글 뇌는 충분히 자야 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