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자료실

reference

자료실

홈으로화살표 자료실화살표 교육학일반

교육학일반

게시물 상세
[교육사회학] 교육학과 사회학 그리고 교육사회학
작성자 : Edu연구소1   조회수 : 1899

교육학과 사회학 그리고 교육사회학

 

인간은 나약하여 사회(집단)를 형성하고(만들고), 그 사회를 유지, 발전시키기 위해 교육(사회화)이 필요했다. 교육학은 교육현상(문제: 대학입시제도의 변화, 청소년 자살, 가출, 흡연 및 음주, 학력저하, 사교육의 팽창 등) 그 자체를 연구하는 학문이라면 사회학은 사회현상(문제: 취업문제, 빈부의 차, 이혼, 초식남 현상 등) 그 자체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교육사회학은 교육현상 자체를 사회현상으로 보고 교육문제와 현상을 사회학적인 관점(방법과 이론)에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교육현상을 보는 관점에 따라 교재의 구성도 달라질 수 있다. 관점으로는 미시적 관점, 거시적 관점이 있고, 방법은 실증적인 방법, 해석학적 방법, 면접법, 참여관찰법, 민속학적 방법 등이 있다.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기능론과 갈등론이 있다.

사회학적 이론과 방법을 교육실천에 적용하려는 응용과학이다. 교육자체가 사회현상이다. 교육사회학은 사회현상으로서의 교육의 위치와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교육변동(종속변인이면서 독립변인)은 사회변동(독립변인이면서 종속변인)의 결과이며 지표이다. 사회변동과 교육변동은 함수관계(y=f(x))이다. 교육사회학은 사회의 구조나 문화에 따라 교육현상은 다르게 나타난다.

사회적 과정으로서의 교육은 인간관계가 이루어지는 크고 작은 만남에서 야기되는 어떤 관계나 상호작용을 포함하며, 이것이 바로 교육의 사회적 성격을 말해 준다. 사회적 과정으로서의 교육이란 가정, 학교, 교회, 직장 등에서 두 사람 이상이 모여 서로의 행동·태도·신념 등에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 즉 교육자(또는 지도자)와 피교육자(학습자)의 관계를 형성하는 넓은 의미의 교육적 과정을 의미한다. 인간이 사회의 일원으로 생활하며 사회의 영향을 받는 과정은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설명된다(김병성, 2004).

교육사회학은 사회현상으로서의 교육에 관한 사회학적 탐구를 하는 학문이다. 교육사회학에서 관심을 갖는 사항은 인간들이 모여사는 사회 속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의 교육현상에 관한 제 측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왜 교육에 참여하는가누가 더 많은 교육의 혜택을 받는가왜 해마다 교육정책에 대한 이야기가 뉴스거리가 되는가왜 교육부장관이 바뀌면 대학입시 정책이 바뀌게 되는가등의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내는 과정을 포함한다고 하겠다.

사회학이 사회(집단)에서의 인간관계나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학문이듯이 교육사회학도 교육사회나 집단 혹은 교육체계 속에서 야기되는 인간의 상호작용 관계와 그 것이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행동이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다. 이를 또 다른 개념으로 표현하면 교육체계 속에서 야기되는 사회관계와 사회적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교육현상은 곧 그 구성원들의 관계 속에서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적 행동으로 나타난다. 교육에도 어떤 목적이나 그것을 이루기 위한 과정과 규칙이 있다. 이러한 교육현상의 법칙이나 그 과정을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학문이 바로 교육사회학이다.

사회학의 탐구 대상으로는 인간과 사회와의 관계: 인간은 사회적 존재인가? 사회명목론(사회계약론)과 사회실재론(사회유기체설), 집단과 사회와의 관계, 교육과 사회와의 관계: 사회적 배경을 무시한 교육현상의 이해는 교육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교육사회학의 기초를 놓은 사람은 뒤르켕(Emile Durkheim)이다. 교육학에 관심을 가졌던 뒤르켕은 교육을 사회적 사실(social fact)로 인식하고, 사회구조의 한 부분으로서의 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밝히는 것이 교육학 연구의 핵심이라고 보았다(Durkheim, 1922). 그에게 있어서 교육은 ʻʻ한 사회가 자체의 존재조건을 의도적으로 재창조하는 수단ʼʼ이며, 그 핵심은 ʻʻ새로운 세대의 체계적 사회화ʼʼ였다. 그러므로 교육의 목적은 사회체제를 개인에게 내면화시키는데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교육학, 좁게는 교육사회학의 연구영역은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첫째, 교육에 관한 사회적 사실들과 그것들의 사회적 기능을 밝히는 일

둘째, 교육과 사회 및 문화 변화 간의 관계를 밝히는 일

셋째, 교육체제의 여러 유형을 비교문화적 및 비교학적으로 연구하는 일

넷째, 살아 있는 사회체제로서의 학급과 학교를 탐구하는 일

1970년대 중반까지 미국 교육사회학의 연구경향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2차대전 직후의 경향으로, 주로 학생의 성적과 태도형성에 미치는 가족, 이웃, 사회의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에 집중되었다. 사회심리학적 접근을 통하여 학생의 자아개념, 가치관, 세계관의 형성과정을 설명하는 연구가 많이 나왔다. 두 번째 경향은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에 걸쳐 각광을 받은 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밝히는 연구들이었다. 발전교육, 즉 국가발전에 기여하는 교육의 기능을 전체적으로 또는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발전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연구가 성황을 이루었다. 세 번째 경향은 1960년대에 걸쳐서 활발했던 사회조직체로서의 학교에 관한 연구이다. 학교 내의 인간관계, 역할, 사회적 풍토, 학교문화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학교 관료체제의 성격을 밝히는 연구들도 이루어졌다. 브루코버가 관찰한 미국 교육사회학의 이러한 동향은 사회학의 연구동향과 대체로 일치하는 것이다.

이전글 교육활동에서의 기능론과 갈등론
다음글 교육사회학의 학문적 특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