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자료실

reference

자료실

홈으로화살표 자료실화살표 교육학일반

교육학일반

게시물 상세
[교육심리학] 인지 발달 이론
작성자 : Edu연구소1   조회수 : 1347

인지 발달 이론 

1. 인지 발달 이론 


1) 의미 
  (1) 인지이론이란 아동의 현재 지식상태, 사고, 추리 및 문제해결력에 맞게 학습 자료를 구성하고 조직화하여 아동의 발달을 도모하는 과정과 방법을 설명하는 이론. 
  (2) 인지구조-환경에 적응하고, 자극들을 저장, 처리, 대조, 확인, 변별, 일반화 하는 마음의 구조(=도식=쉐마schema), 인지구조는 아동이 적응을 하는 도구로써 연령에 따라 변함
  (3) 쉐마schema-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잠재가능성-환경을 지각하고 이해하는 틀-생래적인 것이 아니라 환경과의 접촉에서 반복되는 행동과 경험으로부터 형성, 점차 분화되고 통합된다.  


2) 특징 
  행동주의는 엄밀한 관찰과 실험에 의한 과학적 방법만이 유기체의 행동을 설명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유기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은 전혀 개의치 않으며 의식이나 정신체계와 같은 개념은 볼 수 없고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연구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를테   면 행동주의는 유기체의 모든 행동을 자극(stimulus)과 반응(response)의 관계로 설명하며, 모든 학습행동은 이러한 과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통제된 실험을 통해 그 과정을   분석한다.
  반면에 인지주의는 유기체의 행동을 단순히 자극과 반응의 관계로 보지 않는다. 즉 유기체의 행동은 외현적 행동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어떤 자극이 주어졌을 때 유기체의 내부에서는 적극적・능동적인 작용이 일어난다고 본다. 이러한 가정을 기반으로 하여 학습자   가 갖는 내적과정인 지각, 기대, 기억, 해석, 사고, 동기, 목적, 탐구능력과 같은 인지과정에 의해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보고 이들 기제를 기술하고 설명하였다. 즉 학습이란 자극과 반응의 맹목적이고도 시행착오적인 반복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억 속에서의 전   체 구조 사태에 대한 인지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습은 행동의 변화가 아닌 인지구조의 변화이다. 학습은 자극과 반응의 결합이나 조건형성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아   니라 자신과 세계를 이해하려는 개인의 정신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비교>


 

행동주의(Behaviorism)

인지주의(Cognitivism)

학습자는

수동적이며 환경에 이해 지배를 받음

능동적이며 환경을 지배

학습은

자극과 반응의 연합에 의해 이루어짐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환경(학습의 장)을 이해, 탐색하려고 시도하기 때문에 일어남

지식은

학습된 연합들로 조성됨

 정신적 구조 및 절차의 조작된 형태로 구성됨

학습은

새로운 연합의 획득이다.

정신적 추리, 인지적 정보처리과정에 의하여 생성된 정신구조의 변화로 구성됨

선수지식은

주로 장면들간의 자극의 유사성으로 인한 정적 또는 부적 전이와 같은 간접적인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

새로운 학습은 새로운 장면을 이해하고 다르기 위하여 선수학습의 지식을 변화시키는 것에 기초한다.

정신활동

논의는 허용하지 않는다.

핵심적인 쟁점이다.

실험연구는

강한 실험적 연구를 통해서만 검증 가능

취약한 실험적인 연구, 관찰연구, 사고, 실험 및 논리적 분석 사용

교육은

원하는 방향으로 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극을 배열하는 것으로 조성된다.

복잡한 환경에 대한 능동적인 정신적 탐색을 허용, 조장하는 것으로 조성



2. Piaget(1896~1980)의 인지 발달 이론
  (1) 10살 때 공원에서 본 흰무늬 참새에 대한 관찰 기록을 논문으로 발표
  (2) 1920년 비네(Binet, Alfred) 연구소에서 어린이의 지능 연구함
  (3) 루소 연구소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부인과 함께 자신의 세 자녀를 대상으로 한 집중적인 관찰을 통하여 지능 발달에 관한 연구를 함
  (4) 1920~1930년대에는 행동주의가 심리학을 지배하던 때라 환영받지 못했으나 1960년에 와서 지능 문제를 생물학적 고찰을 통해 발생적인식이라는 새로운 학문적 영역을 탄생시키는 데 공헌함  
 (5) 인지발달의 개념을 개체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과정으로 보고 적절한 인지구조 의 발달이 선행되어야만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는 학습의 기본가정을 설정하였다.
 (6) 평생의 관심사는 인식론적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명하는 일, 즉 지식이 어떻게 형성되느냐는 문제는 과학적으로 해명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발생론적 인식론의 과제는 지식의 경로(낮은 지식에서 높은 층의 지식으로의 변화)를 밝혀야 된다고 보았다.     
 (7) 특히 피아제는 지능을 생물학적 성장의 특수한 사례에 속한다고 보기 때문에 그의 지능 연구를 정신적 발생학 또는 지능의 생물학적 이론으로도 부른다.
 (8) 그의 이론의 바탕은 철학에서 합리론과 경험론, 생물학에서 Darwin의 돌연변이설, Larmark의 용불용설(用不用說 , use and disuse theory 생물에는 환경에 대한 적응력      이 있어, 자주 사용하는 기관은 발달하고 사용하지 않는 기관은 퇴화하여 없어지게 된다는 학설), 심리학에서의 연합주의와 형태주의 입장들을 변증법적으로 종합하고 있다.
 
1) 인지발달 이론의 특징-발생학적 인식론
 (1) 아동을 자신의 주변 환경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조작하여 구성해 나가는 능동적인 존재
 (2) 아동의 인지발달은 아동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3) 이론의 핵심은 생물학적인 개념인 적응이다.
 (4) 적응이란 동화(assimilation)와 조절(accommodation) 사이의 평형을 유지하려는 선천적인 경향을 의미한다..
 (5) 인지발달과정에서 유기체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루어가는 적응(adaptation)과정은 assimilation(동화)와 accommodation(조절, 적응 )의 두 하위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2) 동화(同化)-기존의 구조(쉐마=도식)에 부합시키는 것
 -새로운 자극을 유기체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도식에 끌어들여 이해하는 통합적 인지과정으로 도식은 양적 발달을 가져온다.
 -새로운 지극을 동화하기에 적합한 도식이 없거나 일치하지 않을 때 유기체는 인지적 갈등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조절하게 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진다. 


3) 조절(調節)-인식구조(도식)의 변형
 -새로운 자극이 유기체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도식으로는 이해되지 않을 때 기존의 도식을 변용하거나 새로운 도식을 만드는 것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도식이 없어 갈등을 일으킬 때 그것을 해소하기 위해 도식을 조절한다. 


4) 지능의 발달은 동화와 조절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5) 평형화(平衡 equilibrium)
 -동화와 조절의 균형상태
 -유기체가 항상 지향하는 필연적 조건
 -유기체가 새로운 자극을 받으면 기존의 도식을 기초하여 동화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 데, 만일 새롭고 특유한 경험 때문에 동화시킬 수 없을 때는 인지적 불균형(갈등)이 일어나게  되고 유기체는 인지적 균형을 이루려는 생득적 욕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절을 통해 인지적 균형을 추구하게 된다.

6) 도식(圖式, schema, 쉐마)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잠재가능성-환경을 지각하고 이해하는 틀, 지각의 틀, 이해의 틀, 반응의 틀
 -생래적인 것이 아니라 환경과의 접촉에서 반복되는 행동과 경험으로부터 형성, 점차 분화되고 통합되어 보다 많은 도식과 고차적인 도식으로 되어간다.
 -새로운 경험을 기존의 도식에 끌어 들여 이해하는 통합적 인지과정으로 도식은 양적 발달을 가져온다.


7) 인지구조
 -아동이 적응을 하는 도구. 연령에 따라 변함
 -환경에 적응하고, 자극들을 저장, 처리, 대조, 확인, 변별, 일반화 하는 마음의 구조(=도식=쉐마schema)


                     
 
이전글 Piaget의 인지발달단계
다음글 Skinner와 Bandura의 학습이론의 차이는 무엇인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