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자료실

reference

자료실

홈으로화살표 자료실화살표 교육학일반

교육학일반

게시물 상세
[교육심리학] Piaget의 인지발달단계
작성자 : Edu연구소1   조회수 : 1164

Piaget의 인지발달단계

 

-피아제가 유명해진 것은 아동의 사고가 일련의 단계를 거쳐서 발달하며, 각 단계는 질적으로 다르다고 주장한다. 하기 때문이다.

 

 (1) 감각 운동기(0~2)

반사단계(출생~1개월) -가장 잘못된 견해(지적 활동의 시작은 출생 후 수 시간 내 가능함-외부 자극에 단순한 기계적인 반응의 시기

1차적 순환반응기(생후1~4개월)-쾌락적인 자극에 반복적으로 반응하는 시기로 지배적인 기제는 동화

2차적 순환반응기(생후4~8개월)-주도적으로 장난감을 잡는다.

2차적 순환반응의 협응기(생후8~12개월)-두 가지 활동을 동시에 할 수 있다.(한손에 딸랑이를 들고 한손으로는 종을 칠 수 있다.)

3차적 순환반응기(생후12~18개월)-가지고 놀던 장난감을 스크린 뒤에 숨겨도 찾는다.(정신적 표상 또는 대상연속성의 성취)

정신적 표상의 시작기(생후18~24개월)

-단순한 놀이를 발견하는 것과는 달리 직접 창조하는 능력

 

 (2) 전조작기

 전개념의 하위단계(생후16개월~4)

감각활동 운동이 행동의 지배를 받는다.

내면화-숟가락을 한 번 사용해 보면 어떻게 사용할지 안다.

어떤 사람을 아빠라고 한 번 부르면 모든 남자를 아빠라고 부른다.

동생이 다른 사람처럼 옷을 입으면 알아보지 못한다.

오렌지와 사과가 모두 과일이라는 사실을 이해지 못한다.

자신의 경험을 내면화시킨다. 언어가 발달하면 경험을 하나의 이상의 단어를 이용해서 표현할 수 있고, 언어적 형태로 기억할 수 있다. 

직관적 사고의 하위단계(4~7)

유아는 외형이 분명하게 변하면 쉽게 속는다.

여전히 감각에 의해 지배

탈중심화(decentre)’능력이 발달한다.-사물의 어느 한 부분만을 집중해서 보지 않고 전체를 볼 수 있다.

자기행동과 신념의 이유를 제시할 수 있다.

언어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이유를 제시할 수 있다. 주로 하는 질문은 무엇이 아니라 이다.

지배적인 기제는 조절

물활론(animism)이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물활론(物活論, hylozoism)이란 모든 물질은 그 자체 속에 생명을 갖추고 있어서 생동한다고 하는 이론으로, 물활론적인 사고란 물질을 물질 그대로 보지 않고 물질 속에 내재된 혹은 물질에서 보여 지는 원리나 개념이 현실세계에 영향을 주고 정신적인 것마저도 된다고 보는 사고이다. 이는 유물론과도 연관이 있다. 유물론은 물질이 정신에 앞선 것으로 보고 물활론은 물질에 내재된 생명력, 원리가 있어 그것이 현상세계에 영향을 주거나 근본이 되는 것으로 본다는 데에서 차이가 있다.

   

 (3) 구체적 조작기(7~12)

조작적 사고란

 -어떤 문제를 풀면서 (구체적으로, 물리적으로)생각을 할 수 있는 능력

 -가역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숨을 들이쉴 때의 공기와 내쉴 때의 공기의 양이 같다 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 피아제의 고전적 양의 보존실험-긴병과 넓은 병의 물의 양- 전조작기 아동은 긴병의,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은 넓은 병의 물이 많다고 함)

이행성(移行性, 타동성, transitivity)’

 -AB보다 크고 BC보다 크면 A는 반드시 C보다 크다

서열화’-길이와 같은 기준에 따라 대상을 분류하는 것

 

 (4) 식적 조작기(12,3~성인)

논리적이고 상징적이며 추상적인 사고를 한다.-사실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더 많다.

일반원리에서 어떤 의미를 연역추리할 수 있다.

체계적 방식의 사고-문제의 요소들을 잘 조직화하고 구성할 수 있다.

종과 속의 구별을 학습하게 된다.-사과와 오렌지가 모두 과일 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같은 부류, 생물 분류상의 기본단위, 속의하위) (-생물의 분류단위, 의 중간)()사람종사람속사람과영장목포유강척추동물문동물계

 

 (5) 학습의 최적 조건

 1) 유기체의 인지구조 속에 (동화)될 수 없는 것은 생물학적인 자극이 될 수 없다.

 2) 어떤 것이 인지구조로부터 너무 벗어나서 더 이상 (조절)될 수 없으면 (학습)은 일어나 지 않는다.

 3) 최적의 학습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현재의 인지구조 속에 (동화)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 해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인지구조의 변화를 필요로 하는 만큼은 상이한 것이어야 한다. 만약에 정보가 (동화)될 수 없는 것이라면 쉽게 이해되지 못할 것이며, 또한 정보를 완전 히 이해하면 (학습)은 필요 없게 된다.

 4) 실제로 피아제이론에서 (동화)(이해)는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돌라드와 밀러가 말하는 학습의 딜레마인데 모든 학습은 실패에 달려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5) 경험을 (동화)할 수 있는 선행지식의 실패가 (조절)이나 (새로운 학습)을 불러일으킨다.

 6) 경험은 인지적 성장을 자극할 수 있는 정도로만 도전적이어야 한다.

 7) (동화)만 일어나기만 해서는 인지적 성장은 일어나지 않는다.

 8) 개별학습자에게 어떤 종류의 인지구조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피아제가 교사와 학생의 1:1 대응을 선호한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도 때문이다.

 

이전글 Vygotsky(1896~1980)의 인지 발달(사회문화) 이론
다음글 인지 발달 이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