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자료실

reference

자료실

홈으로화살표 자료실화살표 교육학일반

교육학일반

게시물 상세
[교사론 · 교수학습] 초임교사의 능력 개발과 선발
작성자 : Edu연구소1   조회수 : 599

초임교사의 능력 개발과 선발

 

  교사는 늘 아이들에게 급속하게 변하는 세상에 빠르게 적응하라고 말한다. 그러나 정작 그들 자신은 참으로 더디게 변하는 것 같다. 사회가 요구하는 교사의 역할과 기대는 무척 많고 크지만 교사는 자신이 무엇을 얼마만큼 해야 할지 잘 모른다. 자신이 근무하는 학교가 요구하는 것이 자신이 해야 할 전부인 것으로 만족한다. 국가는 교사들이 해야 할 직무수행의 기준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급격하게 변하는 세상에 적응하려는 평생학습 체제하에서는 더욱 필요하다. 학교 단위의 기준이 아니라 국가 수준의 직무수행 기준은 특히 학교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학습목표와 우수한 교수 활동의 구성 요소에 대한 교직 전반의 이해를 반영하여야 한다.

  예비교사는 자신이 지녀야 할 지식과 능력을 일반적으로 현장의 교사처럼 단지 자신이 가르치는 교과와 관련된 것만으로 한정해서는 안 된다. 교사가 편협한 세계관의 소유자라면 요즘처럼 자율화, 개방화된 학습자들에겐 참 답답한 인물일 것이다. 학교에서 이런 교사를 만나는 건 어렵지 않다. 다행히 교사 직무수행 기준에는 전문직으로서의 교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폭넓은 경험을 제공해 주도록 설계되고, 초임 교사를 위한 잘 구조화되고 풍부한 자료를 재공해 주는 유도 프로그램은 교직경력을 순조롭게 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우리나라에서 교직은 매우 매력적인 직업 중의 하나이다. 실업의 아픔과 퇴직, 이직의 아픔을 아는 사람들에겐 더욱 그렇다. 우리나라에서 교직이 매력적인 이유는 아마 정년의 완벽한 보장일 것이다. 확대되는 청년 실업, 비정규직 문제 등이 요동치는 생존의 절박한 상황에서 교직만이 철옹성이 되어 있는 현실이 부자유스럽다.

  교수 능력을 향상시킬만한 인센티브가 전혀 없는 현실이 교사의 무능과 나태를 가져와 공교육 부실의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는 지경까지 왔다. 교사 스스로가 자초 꼴이다. 교사의 평가 및 책무성과 관련된 장치의 부재가 낳은 결과이다. 교사의 교수능력 향상, 공교육의 부실 등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개방적이고 공정하며 투명한 교사 평가 체제의 도입이 시급하다. 더 이상 교육 붕괴의 책임을 교육 현장과 무관한 곳에서 찾는 일은 없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신임교사의 선발에서도 그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판단할 수 있게 하고 교사 선발과 인사행정에 단위 학교가 참여토록 하여 우수한 교사를 선발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일부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것처럼 교직과 다른 직업들 간에 이동을 쉽게 하여 교사가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사의 이직률은 높지 않다. 그러나 어떤 교사들이 교직을 떠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교수 활동의 전문성 약화라는 측면에서는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교직을 떠나는 이유로는 학생과 동료교사와의 좋지 못한 관계, 학교 경영진과의 갈등, 자신에게 불리한 근무여건, 그리고 자신의 능력을 개발할 기회의 부족 등이다.

   우수교사를 교직에 머무르게 하는 것은 교육의 질을 증진시키는 또 하나의 방편이다. 교사평가는 모범적인 교수 활동을 보인 교사들을 보상해 줄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교사들에게 더 많은 기회와 인정 그리고 다양한 인센티브는 우수한 교사를 학교로 유인하고 오래 머무르게 하며 교사들이 스스로에 대해 유능감과 가치 있음을 느끼고 자신의 일이 많은 사람들에게 지지받고 있음을 느끼게도 한다. 더 나아가 교사들의 잡무를 도와 줄 전문요원과 행정요원을 두는 것은 좋은 근무여건을 만들어 주는 것으로써 그들에게 오랫동안 교직에 몸담게 하는 대단히 매력적인 일이다.

   현실적으로 보면 교사의 이직률은 낮은 편이지만 간혹 유능한 교사가 학교를 떠나 유명 입시학원이나 다른 직종에서 능력을 발휘하는 것을 종종 본다. 그들을 좀 더 많은 설득과 제도적정책적 배려를 통하여 교직에 머무르게 했다면 우리 아이들이 계속해서 양질의 교육을 받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우리 사회와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집단 중의 하나가 바로 교원단체이다. 당사자인 그들과 그들만을 위한 교원정책이 아닌 이상 새로운 교원정책을 합의하는 것은 무척 어려울 것이다. 교원단체가 여럿일 때는 더욱 어려울 것이다. 그들의 집행부와 합의를 한다고 해도 쉽게 뒤집히기도 한다.

   국가 및 국제 수준에서 교육정책을 개발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교사와 교사의 일 그리고 경력 등에 대하여 구할 수 있는 자료와 정보가 교원정책이 다루고 있는 영역의 일부이다. 보다 양질의 정보와 자료를 개발하는 작업에 중요한 우선순위는 부여되어야 한다.

 많은 나라의 경우처럼 교사와 교사의 대표들이 정책 입안에 적극적으로 가담하고 개혁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지며 민주적 절차를 중시한다. 이 과정에서 개방적이고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대화와 자문은 이 과정의 기본 조건이다

이전글 문화와 교육
다음글 교직의 특수성과 교육자의 역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