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자료실

reference

자료실

홈으로화살표 자료실화살표 교육학일반

교육학일반

게시물 상세
[교육심리학] 창의성(power of an original idea)
작성자 : Edu연구소1   조회수 : 657

 

창의성(power of an original idea)

 

   김아영 외 공역교육심리학에 의하면 창의성의 의미를 다양하게 진술하고 있다. 거칠게 요약된 내용이지만 창의성을 지도하는 데 많은 참고가 됐으면 좋겠다. 먼저, power of an original idea: 인간 모두가 가지고 있는 보편적 능력, 특성으로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창의성=지적인 요소(IQ)+정의적 요소(EQ) 정보를 생산, 가공, 변형, 재구성하는 능력 상황을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바라보는 능력 우뇌의 합작품, 즉 어떤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책을 떠올리기(우뇌)현실로 옮기기(좌뇌) 새로운 일에 자신 있게 도전하는 배짱과 열정 같은 내적동기 지능 삼원설의 스턴버그(Sternberg)는 창의성=분석지능맥락지능경험지능(교집합) 21세기는 지식과 정보의 바다에서 혁명적 사고(창의성)’를 하는 인재가 필요하다. 새롭고 유용한 것을 생성해내는 능력, 남이 생각하지 못하는 것을 생각해내는 힘 아마빌레(Amabile)의 창의성 발현의 3조건: 지식과 경험, 창의적 사고력, 내적 동기 창의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지적능력, 선행지식, 사고양식, 개인의 성격특성, 동기유발, 성취동기, 환경 타인에게 매몰되어 가는 무미건조한 삶에 새로움의 신선함을 불어넣어 주는 생존의 도구 창의적인 삶은 인간소외의 극복을 가능하게 함 등이다.

  조벽 교수 역시 그의 저서 인재혁명에서 창의성의 개념을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하고 있다. 창의성은 천성적 요소 50%와 훈련과 양육으로 만들어진 교육적 요소 50%로 구성된다. 창의성은 지식과 사고력과 같은 인지적 요소(IQ=똑똑함)와 집중력, 자신감, 모험심, 여유 등과 같은 정의적 요소(EQ=현명함)의 결합으로 나타난다.

  창의적인 인간의 특성은 어떨까? 내 아이의 창의성의 싹수를 알아보는데 도움이 되며 어릴 때부터 이런 싹수를 길러주면 좋겠다. 첫째, 어떤 분야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쌓는 것이 창의성의 기초가 되지만 '좀 더 다른 뭔가'도 필요하다. 조쉬 링크너는 그의 책 창의는 전략이다에서 다른 뭔가기존의 틀을 깨뜨리는 능력이다. ,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보고 재구성(restructuring)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문제로부터 잠시 떨어져 시간을 갖는 것이다. , 부화(incubation)할 시간을 갖는 것이다. 부화란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일종의 무의식적 작업이다. 문제로부터 잠시 벗어남으로써 경직된 사고방식이 중단되고 그 문제에 대한 시각이 재구조화될 수 있다. 동기와 인내심 난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생각과 밥 먹 듯 돌진하는 모험심, 리스크를 무릅쓰는 정신, 열정, 경청(환경과의 교류-창의성은 80%가 습득해서 얻는 것이다.) 등이라고 한다. 둘째, 단 하나의 정답을 찾는 능력이 아닌 알쏭달쏭함을 소화해 낼 수 있는 퍼지(fuzzy) 사고력, 셋째, 문제의 정답을 말하기 보다는 문제제기, 즉 질문 많이 하기다. 인구 대비 노벨상 수상자가 가장 많은 이스라엘의 부모들은 학교에서 돌아 온 아이에게 늘 똑같이 "오늘은 선생님께 무슨 질문을 했니?"라고 질문한단다. 넷째, 안락함에 만족하지 않고 작은 성공에서도 도전할 수 있는 모험심을 가지거나 허락하는 것이다. 그래서 조쉬 링크너는 창의성은 혁신(innovation)이다. 틀을 깨고 나와 파격적인 변화를 꾀하고, 현 상태를 타도하는 것이라고 한다. 상궤(常軌-일반적으로 정해진 길이나 어떤 틀과 규격)를 벗어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실패를 거듭하면서도 또다시 도전할 수 있는 긍정성과 상처 회복능력(resilience)이다. 이런 다섯 가지 싹수는 창의성 판단의 준거가 된다. 창의성은 결국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묘합으로 이루어지므로, 누가 언제 얼마만큼 꽃피울지 그리고 파란 싹일지, 노란 싹일지 나중에 알 수 있다.

  끝으로 창의성의 적들은 다음과 같다. 실패공포증, 아인슈타인이 가장 싫어했다던 명령과 지시와 같은 외부 압력(부모와 선생님의 영향이 큼), 정답신봉(교육제도와 입시정책의 영향이 큼) 그리고 스트레스(생태학적 영향이 큼), 주위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비인간적인 처사, 타인과의 비교, 평가 등이다. .

이전글 공감(共感, empathy)과 동감(同感, sympathy)의 차이
다음글 ‘아동의 지적 발달이 어떻게 수업과 관련되어야 하는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