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자료실

reference

자료실

홈으로화살표 자료실화살표 교육학일반

교육학일반

게시물 상세
[교사론 · 교수학습] '형제 대장간'에서 배우는 인지적 도제학습 과정
작성자 : Edu연구소1   조회수 : 749

인지적 도제학습

 (Cognitive Apprenticeship Learning)

 

 서울 은평구 수색로에는 1976년 개업한 형제 대장간이 있다. 이곳에 가면 도제학습의 의미와 그 도제학습이 또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잘 알 수 있다. 시간나면 YouTube에서 꼭 찾아보길 바란다.

 도제학습은 브라운(Brown, 1989) 등에 의해서 제안되었다. 인지적 도제학습은 전통적인 도제방법을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교수방법의 형태로 적용, 변화시킨 것으로 전통적인 도제제도와 유사함에서 붙여진 이론이다. 전통적인 도제제도에서 전문가는 초심자에게 먼저 시범을 보여 주고 초심자는 전문가가 하는 것을 보고 따라 배우는 원리를 그대로 응용한다. 예를 들면, 전문적인 기능을 가진 목수가 선반을 다루는 법을 도제에게 먼저 시범을 보여 주고, 도제로 하여금 따라 해보게 한다. 도제가 서투르게 하면 코치를 해준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인지적 영역에 적용시킨 것이 인지적 도제학습이다. 교사나 교과내용에 해당되는 전문가의 사고활동 과정을 모델로 제시하고 학생은 이 모델을 따라 행함으로써 학습하게 된다.

 인지적 도제이론이 가장 잘 적용되는 교과가 국어, 수학 교과이다. 예를 들어 국어과에서 독해 문제를 다룰 때 상보적 교수법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소리 내어 내용을 요약하게 하고, 혼란스러운 내용을 명확히 설명하게 하며, 읽은 내용에 대해 질문을 만들거나 예상을 하게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교사는 먼저 시범을 보여 주고, 나중에 교사의 역할을 학생이 맡는다. 이때 교사는 학생을 지도하거나 학생들의 노력을 보조해 주는 코치 역할을 한다. 학생이 점차 익숙해지고 스스로 잘하게 되면 교사의 도움을 점점 줄인다.

 

 인지적 도제학습은 대략 여섯 가지의 절차와 방법, 그리고 3단계로 이루어진다.

 1단계는 모델링(modeling), 코칭(coaching), 인지적 기반구축(scaffolding fading)으로 이루어진다. 인지적 도제학습 활동의 핵심 과정으로 관찰, 안내, 지원이 제공되는 실제 수행을 통해 인지와 메타인지가 통합된 기술을 획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설계한다.

 2단계는 명료화(articulation), 반성적 사고(reflection)의 단계이다. 전문가의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관찰에 초점을 두고 학습자는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의 문제해결 전략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3단계는 탐색(exploration)의 단계이다. 학습자 스스로 문제해결을 위한 가설 수립과 해결을 위한 탐색을 격려하는 독립적인 학습을 제공하도록 설계한다.

 

 다음은 인지적 도제학습의 특징을 알아보자. 인지적 도제학습은 전문가를 통해 단순한 지식의 습득을 넘어서 사고하는 방법, 문제를 규정하는 방법, 문제를 해결해 가는 노하우 등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초보자가 전문가적인 습성을 학습하게 된다. 또한 인지적 도제학습은 상황학습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학습과정이 일상생활과 같은 환경에서 실제 과제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학습되는 지식과 기술이 실생활에 유용한 것이어야 한다. , 일상적인 맥락에서 전문가의 일상적인 문제해결 과정을 학습하게 된다그뿐만 아니라 인지적 도제학습은 내재적 동기를 강조하고 있다. 학습목적이 성적 향상이나 교사를 기쁘게 하려는 외재적 동기가 아닌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통해 갖게 되는 도전감과 성취감에 의존하도록 하여야 한다.

 끝으로 인지적 도제학습은 협력과 경쟁을 모두 적절한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다. 문제해결 과정에서 지식과 기술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협력전략을 활용하는 것은 다른 구성주의적 접근과 동일하나, 차이점은 같은 과제를 학습자에게 부여하고 이를 수행하는 과정을 비교하는 경쟁적 전략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여기서 경쟁의 개념은 결과의 경쟁이 아니라 수행 과정에서의 선의의 비교를 의미한다.

 다음은 인지적 도제학습 과정이다. 이 학습과정을 통해 형제 대장간에서 일어나는 복잡하고 다양한 기술이 어떻게 전수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탐색(exploration)성찰(reflection)

 명료화(articulation)비계설정(scaffolding)

코칭(coaching)모델링(modeling)

이전글 교육의 매뉴얼과 레시피
다음글 지금 당장 공부하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