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자료실

reference

자료실

홈으로화살표 자료실화살표 교육학일반

교육학일반

게시물 상세
[교육심리학] ☆파파게노 효과(papageno effect)☆
작성자 : edulab1( )   조회수 : 1487

파파게노 효과(papageno effect)☆ 

 

아는 게 병, 모르는 게 약

 

자살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80만 명 이상이 사망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다. 한국의 경우 OECD 데이터 기준 2015년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8.7명으로 OECD 평균인 12명보다 약 2배 이상의 격차를 보인다.

자살의 원인은 심리적, 생물학적 요인 등 개인적 요인에서부터 사회적 요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자살의 원인을 규명하고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경남 외, 2020).

세계보건기구는 자살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우울증 등 정신질환 치료가 자살예방의 최선이라고 공표하였다. 한국인 4명 중 1명은 평생 한 번 이상의 정신질환 문제를 경험한다고 한다. 한국의 우울증 환자들은 미국의 우울증 환자들보다 자살시도율이 2배 이상 높지만 자신의 건강상태를 솔직히 표현하는 경우는 미국의 환자들에 비해 30% 이상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와 상담을 터부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는 자살 예방을 가로막는 큰 장애물이다(안순태, 2018).

자살은 다수의 학자들이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을 통해 언론의 자살 보도와 실제 자살 및 자살 행위 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해 왔다. 사회학습이론에 의하면, 언론이 자신과 동질적인 위치에 있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의 자살 행위를 보도할 경우 향후 자살 시도자는 이를 습득하고 모방함으로써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몇몇 연구들은 사회학습이론의 모방이 방아쇠 효과(trigger effect)를 일으켜 베르테르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하지만 반대로 후속 자살을 예방하는 파파게노 효과를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정나은, 2014).

오스트리아 도시 비엔나에 지하철이 처음 개통된 이후 1984~1987년 사이 갑자기 지하철 자살 건수가 급증하게 된다. 그 이유는 언론이 지하철 자살을 상세하고 극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보도하면서 지하철 자살률이 급증하게 된 것이었다. 비엔나 자살예방협회는 언론보도 지침을 만들어 각 언론사에 자살 관련 보도를 자제해 줄 것을 간곡히 요청하였다. 각 언론사는 자살에 관련된 보도를 자제 요청을 받아들인 결과 6개월 후 80% 이상의 자살률 급감이라는 효과를 낳았다(이동귀, 2016; 정나은, 2014). 과유불급(過猶不及), 뭐든 정도가 지나치면 화를 부른다.

파파게노 효과란 베르테르 효과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이 효과는 자살 관련 보도가 모방자살(copycat suicide)을 유발한다는 베르테르의 효과와는 반대로 파파게노 효과는 자살관련 보도가 오히려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는 관점이다. 파파게노 효과는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magic flute)에 등장하는 새잡이 파파게노와 그의 연인 파파게나의 사랑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 파파게노는 자신의 연인 파파게나와의 사랑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 상심을 이기지 못하고 자살을 시도하려는 순간 요정들의 희망적인 이야기에 힘입어 다시 살게 되고 사라진 파파게나를 다시 만나 행복을 이룬다.

언론이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위기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대안적 정보와 도움을 미리 제시한다면 요정들이 파파게노의 자살을 막았듯이 언론이 자살 방지 및 예방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안순태, 2018).

자식의 잘못이나 남의 허물을 덮어주거나 모른 척 해 주는 것도 때론 약이 된다. 특히 많은 사람들에게 타인의 잘못이나 허물을 들춰내려면 매우 신중해야 한다. 자기 눈에 박힌 들보는 보지 못하고 다른 사람 눈의 티끌만 본다면 돌이킬 수 없는 실수가 될 수 있다. 멀쩡한 사람도 낙인찍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자살과 관련한 언론 보도가 더욱 신중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2020년 단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했던 절망의 순간을 이기고 맞이한 2021년은 다들 안녕하시길 기원한다.

 

<참고문헌>

고경남 외(2020). 자살 사고와 자살 시도가 있거나 없는 개인의 자살 보도에 대 한 태도 연구. 대한생물정신의학회, vol.27, no.1, pp.9~17.

안순태(2018). 자살예방을 위한 자살 보도 : 베르테르 효과 방지에서 파파게노 효 과 증진으로. 언론중재, vol.146, no._(2018), pp.56~65.

이동귀(2016). 너 이런 심리법칙 알아?. 파주: 21세기북스.

정나은(2014). 지난 13년간의 TV방송 자살 뉴스내용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이전글 삼국시대의 교육 및 교육철학
다음글 〔행동경제학〕☆현상유지 편향(status quo bias)☆

top